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개념
개념
추진배경
국가전략
국가전략
5개년계획
미래비전
녹색성장정책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자원 절약
기후변화 적응
녹색기술·산업
녹색 국토·생활
지역녹색성장
시ㆍ도 추진계획
시ㆍ도 보고자료
우수사례
녹색 도시ㆍ마을
녹색교육기관
보고대회 자료
주요소식
정부소식
산업소식
지역소식
국제소식
위원회소식
소식
위원장 일정
위원장 동정
기타소식
Rio+20 (UN환경개발회의)
그린레터
교육자료
홍보자료
연구자료
통계자료
보고대회 자료
멀티미디어
녹색법령
용어사전
추천도서
관련사이트
녹색체험
녹색성장체험관
이동체험관
지역녹색성장체험명소
녹색실천
녹색생활이란?
녹색생활의 지혜
녹색실천UCC
녹색실천갤러리
지역행사
녹색칠판
묻고 답하기
자주묻는 질문
인사말
위원장인사말
단장인사말
위원소개
당연직위원
민간위원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및조직
위원회및기획단기능·조직
직원연락처
위원회근거법령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시행령
녹색성장위원회규정
위원회로고
찾아오시는길
개념
개념
추진배경
국가전략
국가전략
5개년계획
미래비전
녹색성장정책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자원 절약
기후변화 적응
녹색기술·산업
녹색 국토·생활
지역녹색성장
시ㆍ도 추진계획
시ㆍ도 보고자료
우수사례
녹색 도시ㆍ마을
녹색교육기관
보고대회 자료
주요소식
정부소식
산업소식
지역소식
국제소식
위원회 소식
소식
위원장 일정
위원장 동정
기타소식
Rio+20 (UN환경개발회의)
그린레터
교육자료
홍보자료
연구자료
통계자료
보고대회 자료
멀티미디어
녹색법령
용어사전
추천도서
관련사이트
녹색체험
녹색성장체험관
이동체험관
지역녹색성장체험명소
녹색실천
녹색생활이란?
녹색생활의 지혜
녹색실천UCC
녹색실천갤러리
지역행사
녹색칠판
묻고 답하기
자주묻는 질문
인사말
위원장인사말
단장인사말
위원소개
당연직위원
민간위원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및조직
위원회및기획단기능·조직
직원연락처
위원회근거법령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시행령
녹색성장위원회규정
위원회 로고
찾아오시는 길
용어사전
용어사전검색
검색어 입력
시장활성화를 위한 파트너십 [PMR, Partnership for Market Readiness]
세계은행이 탄소배출 저감방안 도입을 고려하는 국가들에게 관련 재정 및 기술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EGS [Enhanced Geothermal System]
인공저류층생성기술(EGS;Enhanced Geothermal System) 높은 지열을 갖춘 지역에서 주입정으로 물을 주입하고 인공저류층을 통해 생산정으로 빼내는 방식
빛 수확기술 [Light Harvesting]
태양 빛을 흡수하여 전기로 바꿀 때 일정한 면적에서 더 많은 빛을 손실 없이 흡수하고 이용하여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의 효율 증대를 위한 핵심기술
SAARC [South Asian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SAARC : South Asian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인도, 파키스탄, 네팔, 몰디브, 부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 7개국이 빈곤해소와 경제협력 확대, 평화 관계 구축 등을 위해 1985년 결성한 기구. 1981년 4월 콜롬보에서 열린 외무부장관 회담에서 남아시아협력기구를 만들자는 의견이 나왔고 1983년 8월, 다시 뉴델리에서 만나 SARC(South Asian Regional Cooperation:남아시아지역협력기구)를 만들고 농업, 지역발전, 통신, 기상, 건강과 인구 등 5개 분야에 걸친 협력을 약속했다. 1985년 11월 7일 다카(Dhaka)에서 방글라데시·부탄·인도·몰디브·네팔·파키스탄·스리랑카 등 7개국 정상들이 모여 SAARC(South Asian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을 발족했다. 조직에는 최고기관인 정상회담, 외무부장관들이 1년에 2회 만나 정책을 결정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구상하는 장관회의, 외무부차관들이 역시 1년에 2회 모임을 열어 협력 프로그램을 감독하는 상설위원회, 기타 분야별 기술위원회와 사무국, 지역학회 등이 있다. 정상회담은 1985년 다카, 1986년 뱅골라, 1987년 카트만두 등에서 열렸으며 1999년에는 네팔, 2000년에는 파키스탄에서 개최했다. 목적은 남아시아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복지를 증진하며 경제·사회적 성장을 돕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간의 협력 강화로 지역 문화를 발전시키고 국제적 문제에 공동으로 대처한다. 1989년 마약 퇴치의 해, 1992년 환경의 해, 1994년 청소년의 해 등 해마다 중심 사업을 선정해 활동한다.
에코파마 [EcoPharma]
제약기업 중 온실가스 저감화 및 친환경제품의 생산을 선도하는 모범적인 기업
탄소공개리더십지수 [CDLI (Carbon Disclosure Leadership Index)]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는 2000년 세계 금융투자기관들이 기후변화가 기업에 심각한 위기와 중대한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기후변화가 기업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에 관한 정보 수집을 위해 자발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기구이자, 프로젝트 명이다. 비영리기구로서 CDP는 전세계 금융기관을 대신해 전세계 주요 기업에 기후변화 이슈와 관련, 그 기업이 가지는 기회와 위험, GHG 배출, 감축계획 등의 성과, 거버넌스 등에 관한 질문서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을 분석, 투자자들에게 투자의 지침이 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CDLI는 기업들이 응답한 질문서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 응답기업의 탄소정보공개 수준을 수치화시키기 위한 방법론이다. CDP와 세계적인 회계기관인 PwC가 공동개발한 CDLI에는 10%를 편입해 발표한다. 즉 Global 500을 대상으로 한 CDP의 CDLI 편입기업으로 50개 기업을 발표한다는 말이다. CDLI 편입 조건이 있는데, 자신들이 응답한 설문서를 공개(Public)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올해 Global 500에 속한 우리나라 기업은 삼성전자, 포스코, 한전, SK텔레콤 등 4개사로, 이중 삼성전자는 87점을 획득해 공동 10위를 기록, CDLI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한국은 글로벌 기준인 CDLI를 적용하되, 한국적인 특성에 부합되게 점수를 달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평가항목 중 우리나라에는 전혀 해당사항이 없는 EU-ETS를 제외시키는 방식으로 평가하고 있다. CDP 질문서는 투자자와 기업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매년 보충될 뿐만 아니라 심층적이 된다. CDLI 또한 그 평가방식이 매년 진화되고 있다.
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동남아시아국가연합]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의 회원국은 동 기구의 설립 당시 회원국은 필리핀.말레이시아.싱가포르.인도네시아.타이의 5개국이나, 1984년의 브루나이 1995년 베트남이 가입,그뒤에도 라오스.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회원국이 10개국으로 늘어남.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의 활동내용은 회원국 정상들이 화합하는 정상회담, 회원국 외무장관으로 구성되는 각료회의, 주최국의 외무장관과 해당국 주재 회원국 대사로 구성되는 상임위원회, 전문위원회 그리고 각국의 국내 사무국 등으로 구성되며 당초에는 경제.문화 등 비정치적 분야의 협력을 주로 하였으나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닉슨 독트린에 따른 미국의 아시아지역 이탈과 중국.미국간의 접근으로 아시아지역에 긴장완화의 조짐을 보이자 동남아시아에 있어서의 대국간의 힘의 균형을 노리고 1971년 ‘동남아시아 중립화 선언’을 채택하였습니다. 1972년 각료회의에서는 정치문제에 대하여도 협력하기로 합의하였고, 1976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는 지역발전과 안전보장이 강조되었습니다.
국제유류오염보상기금 [IOPC (The International Oil Pollution Compensation Funds)]
국제유류오염보상기금(IOPC : The International Oil Pollution Compensation Funds) 기름유출 사고로 피해를 입은 국가에게 방제비용이나 재산상 손실 등의 보상액을 산정, 지급하는 기구. 국제해사기구(IMO) 소속으로 각국 정유사 등 화주의 분담금으로 조성된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140개국이 회원으로 가입해 있다. 유조선 사고시 피해보상액이 선주의 책임한도인 1천300억원을 초과할 경우 피해장에게 최대 3천억원까지 보상을 해준다.
지열에너지 [Geothermy energy]
지열이란 지표면의 얕은 곳에서 부터 수km깊이에 있는 뜨고운 불과 암석을 포함하여 땅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말한다. 뜨거운 물인 온천, 녹아있는 암석, 즉 마그마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술이 바로 지열을 이용한 에너지 이용이다. 태양열의 절반 정도가 지표면을 통해 지하에 저장되고 이렇게 흡수한 열 때문에 땅속 깊은 곳의 온도는 40℃∼150℃이상을 유지한다. 지열은 건물의 냉난방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데 이용된다. 열교환기로 지열을 모으고 히트펌프(heat pump)라는 기계가 모은 열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게 바꿔준다. 이 히트 펌프를 이용하면 난방뿐 아니라 냉방도 가능하다. 지열은 태양과 지구가 있는 한 계속 만들어지는 에너지로 없어지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 우리나라는 화산지대가 거의 없기 때문에 깊은 곳의 지열을 이용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현재 지하 100~150m 깊이의 지열으 이용하는 시스템의 개발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부터 지열 시스템을 도입했는데 2005년 말 현재까지 지열 시스템이 설치된 곳은 학교, 레스토랑 등 대략 88개 정도이다. □ 2000년도까지 공급된 지 열원 열펌프(히트펌프) 댓수는 세계적으로 약 512,000여대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 스위스, 스웨덴, 독일 등이 대표적인 사용국이다. 이 열펌프는 지난 10여 년간 매년 10% 이상씩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고 미국의 경우 매년 12% 증가하고 있다.
패시브 하우스 [Passive House]
자연상태의 태양에너지 외에는 따로 난방이 필요없도록 지은 주택으로 연간 소비되는 단위면적당 난방에너지가 15kWh/m2 이하인 주택. 3중창 설치, 30cm가 넘는 단열재 등으로 밖으로 새는 열을 막아 난방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줄인 집. passive는 [피동, 수동]의 의미로서 외부에서 액티브하게 열을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 독일 건설물리학자인 볼프강 파이스트(Wolfgang Feist)가 패시브 하우스란 말을 처음 사용함.
트위터
"
[그린레터 157회] “녹색위 민간위원, 녹색성장 10…
http://t.co/okBzAQPj
"
"
오늘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1~…
http://t.co/uCDeu9xV
"
"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 공모
http://t.co/dGpYFgLi
"
녹색성장체험관...
2011/12/21
미래농업의 성장동력인‘식물공장’시범 추진
녹색성장위원회「그린레터」제157호 입니다
기후변화 국제표준화 선도
배출권 거래 중개 민간 자격증, 주의하세…
교과부-순천시, 환경과 녹색성장 체험활동…
[동영상] 녹색성장 성과
explorer 7 이상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explorer 6 에서는 자료다운로드 시 오류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