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수소에너지

(개요)

물 또는 유기물질을 변환시켜 수소를 생산, 이용하는 기술로 수소는 가스나 액체로 쉽게 수송할 수 있으며 고압가스, 금속수소화물 등 다양한 형태로 저장이 용이하다.

(시스템구성도)

(국내외동향)

  • 미국

    • 2040년경에는 수소연료전지가 현재 미국의 1일 석유수입량 수준인 1,100만 배럴의 수요를 대체할 것으로 추산
    • 향후 5년 동안 『Hydrogen Fuel Initiative(수소인프라)와『FreedomCAR (연료전지차 연구파트너쉽)』에 17억불 투자계획
    • 「수소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국가 비전」을 제시(’01.11월)
    • 연료전지차를 포함한 자동차관련 기술개발 프로그램인 『FreedomCAR』발표(’02.1월)
    • 『 2003년 대통령 연두교서』에서 향후 5년간 약 12억불을 투자 발표
  • 캐나다

    • 폐 기술력을 바탕 으로 수소·연료전지 개발 경쟁에 본격화
    • 정부 주도로 Ballard(연료전지),Dynetek(수소저장용기),Fuel Cell Tech(시험장비)등 분야별 세계 최고기업 육성
    • 수소하이웨이, 수소마을 건설 등 정부·기업 공동의『h2EA 프로그램』을 통해 수소경제 조기 진입 추진
  • 일본

    • 에너지 자급과 연료전지의 산업화를 위하여
    • 2003년 연료전지 자동차 시판, 6개의 수소스테이션 시범설치
    • 2010년까지 연료전지자동차 5만대, 2020년 5백만 대 보급 예정
    • 2010년까지 가정용/건물용 연료전지 210만kW, 2020년 1,000만kW 공급목표 설정
  • 국내

    • 1980년대 후반까지 신재생에너지로서의 수소에너지 기술개발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하여 전반적인 연구 수준은 기초 단계
    • 천연가스로부터 수소제조 기술을 일부 확보하였으며 저가의 대용량 수소 제조에 대한 기술개발이 진행 중
    • 실험실 규모의 액체저장법(-253℃) 및 고체저장법인 MH(수소저장합금)의 소재 개발을 수행하였으며 탄소나노튜브를 이용 수소 저장 기술을 개발 중

(사진1)(사진2)(사진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