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연료전지

(개요)

연료의 산화(酸化)에 의해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지. 귀금속 촉매를 사용하지 않는 고온형의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제2세대, 보다 높은 효율로 발전을 하는 고체전해질 연료전지를 제3세대 연료전지라고 함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구성도)

  • 미국은 1970년대, 일본은 1980년대 초부터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

    • 839년 영국의 Grove가 발명, 1952년 Bacon이 베이컨전지를 개발하여 특허를 취득한 후 미국에서 이 특허를 개량하여 1969년 아폴로 11호에 탑재
  • 2010년 연료전지 시장 1,000억불 예상

    • 수소제조 500억불, 발전용 150억불, 가정·상업용 200억불, 수송용 100억불, 휴대용 50억불 등 약 1천억불 예상
  • 국내

    • 1985년부터 에너지기술연구소와 한전기술연구소 공동으로 5.9kW 인산 연료전지 본체를 수입(일본)하여 성능 실험
    • 1987년부터 6년 계획인 국책연구사업으로 2kW급 인산형 연료전지 발전기 개발(교육과학기술부)
    • 1996년부터 고분자 연료전지 연구가 시작되었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주축이 되어 2001년 가정용 5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스택과 시스템을 개발하였음
    • 2002년부터 상업화를 목적으로 (주)GS퓨얼셀이 주관하여 더욱 컴팩트하고 성능이 향상된 3kW급 열병합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현재 실증단계임
    • 2004년부터 프로젝트형 기술개발로 자동차용, 가정용(RPG), 발전용, 소형 이동전원용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술 개발 추진 중
    •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가격은 스택 30%, 개질시스템 30%, 전력변환기 및 BOP 40%로 구성

(사진1)(사진2)
(사진3)(사진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