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열
(개요)
태양광선의 파동성질을 이용하는 태양에너지 광열학적 이용분야로 태양열의 흡수·저장·열변환 등을 통하여 건물의 냉난방 및 급탕 등에 활용하는 기술
(특징)
(표)
(국내외동향)
개요
-
선진국에서는 국가별 특성에 맞는 태양열이용기술을 중점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저온 태양열 시스템 보급 활성화를 위한 인증시험 및 평가, 신뢰성 향상 등에 지속적인 연구 추진 (미국: 태양열발전, 일본·호주: 온수기, 유럽 : 대규모 집단 난방 및 급탕 시스템 등)
미국
-
’70년대 저온 분야 (집열기, 온수기, 자연형 시스템)를 주로 개발하였으나 ’80년대 이후 자연형 건물과 중고온 분야에 연구개발 투자
-
태양열발전 및 산업이용 기술의 상업화 (365MW)
일본
-
New Sunshine 계획: 자연채광 및 제어와 대규모 태양열 냉난방, 온수급탕 시스템의 산업이용 개발에 주력
유럽
-
태양열 건물이용 Program: EU의 JOULE (설비형, 자연형 시스템), THERMIE (대형건물, 집단주택의 냉난방)
-
특히 제로에너지 하우스나 제로에너지 타운 등 주로 열에너지 자립을 위한 건물태양열 기술이 최근 들어 많은 연구와 시범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
’70년대 초부터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연구를 시작하여 ’88년부터 대체에너지개발 촉진법에 따라 정부차원에서 기술개발
-
기술개발 동향은 보급확대를 위한 태양열 온수기 등 저온활용 요소기술에 대한 효율 및 신뢰성 향상과 태양열 이용분야 확대를 위해 중고온 시스템 개발을 병행 추진 중
-
제로에너지 건물과 같은 태양열 건물 기술은 기초연구 수행
(기술개발결과)
집열 및 온수·급탕기술(저온용) 상용화
-
보급 단계로 가정용 온수기(약 18.6만대) 및 골프장, 양어장 등의 급탕시설에 보급중임
-
저온이용 집열기(온수기)관련으로 기초연구와 기반 연구가 수행되어 상용화에 연계됨
산업용 태양열 시스템 분야(중고온용)
-
기술분야가 다양하고 국내기반 기술이 취약하나 진공관형, 접시형 태양열 집열시스템과 사계절 이용 가능한 시스템 개발시 산업용으로서 실용화에 유리함
-
그 동안 요소기술을 중점적으로 추진했으며, 이용보급 확대를 위해 시스템 통합기술과 제조기술 확보 등 중장기 적인 기술개발 투자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