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스마트 그리드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하여,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하며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차세대 전력망
  • *구성요소 : Advanced Smart Meter, 전기차 충전인프라, 분산형 전원(배터리), 실시간 전기요금제, 전력망의 자기치유(Self-Healing) 기능, 신재생에너지 생산·판매기능, DC전원공급체계, 전력품질선택 등
  • 필수구성 요소

  • 개념도

  • 미국 (에너지안보, 노후 전력망 현대화를 통한 경기부양)

    • ’03년 “Grid 2030″을 통해 전력망 현대화 국가비전 발표
    • ’07년 “에너지 독립 및 안보 법”에 스마트그리드 명시
    • ’09년 “미국 회복 및 재투자 법”을 통해 45억불 투자
  • EU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회원국간 전력거래 활성화)

    • ’04년 스마트그리드 추진 조직 구성
    • ’06년 유럽형 스마트그리드 비전 발표
    • ’07년 스마트그리드 구현을 위한 5개 연구분야 선정
    • ’08년 스마트그리드 연구개발 우선 순위 선정
  • 일본 (태양광 발전의 계통연계, 마이크로그리드에 초점)

    • 목표 : ’10년 4GW, ’20년 34GW, ’30년 100GW
    • 해외실증사업 참여 : New Mexico Green Grid Initiative 참여
    • ’07년 Ota-City 등 다수 Microgrid 실증단지 운영 중

  • 저탄소 녹색성장

    • ’09년 녹색성장위원회는 ‘세계 일류의 녹색선진국 건설’을 비전으로 제시하며 스마트그리드 관련 내용을 명시화
    • ’09년 11월 현재 산·학·연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통해 국가로드맵 작성 중
  • 선제적 전력IT 기술개발 추진, 스마트 그리드 기술개발 수립 중

    • ’05년부터 2,522억원 규모로 전력IT 10대 기술개발 추진 중
    • ’09년 현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야는 선진국 수준
    • ’10년부터 스마트그리드 기술개발을 본격 추진할 계획
  • ’09년 8월 제주 실증단지 착공

    • 투입예산 : 645억원(정부)
    • 사업분야 : ’09년~’13년
    • 5개 분야 10여개 컨소시엄 참가,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