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로 중대형(10kw~250kw)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인증서비스 제공
□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원장: 서광현)은 ’12.12.18(화)일자로 한국전기연구원(KERI)을「정격출력 10kw초과 250kw이하 태양광 인버터*」에 대한 성능검사기관으로 지정하여, 에너지관리공단(인증기관)을 통해 국내 최초로 중대형 인버터 분야에 대한 설비인증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힘
* 태양광 인버터 :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된 DC전압을 가정이나 산업계에서 사용이 가능한 AC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력변환장치를 의미
※ 신재생에너지 인증절차: ⅰ)인증신청(제조?수입업자 ⇒ 인증기관), ⅱ)문서심사/공장심사(인증기관), ⅲ)성능검사(성능검사기관), ⅳ)인증서발급(인증기관)
※ 전기연구원은 2009년 5월부터 총 80억원(지식경제부 지원: 57억원, 자체예산 :23억원)을 투입, 대용량(350kw급)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시험설비를 구축
ㅇ 이에 따라 국내 중대형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생산 업체들도 기존 10kw이하 소형 인버터 생산업체처럼 신재생에너지설비 인증을 받으면 에너지관리공단 보급사업 우선 지원*, 공공기관 우선 구매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됨
*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 태양광주택보급사업, 융자지원사업 등
ㅇ 특히, 올해 1월부터 신?재생에너지공급 의무화제도(RPS)가 본격 시행됨에 따라 태양광발전시설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이로 인해 많은 중대형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생산업체들도 인증 시행에 따라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됨
*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 일정 규모 이상의 발전사업자/공공기관에게 총 발전량 중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
(연도별 의무공급량(%) : 2012년 2.0%, 2020년 8.0%, 2022년 이후 10.0%)
□ 한편, 한국전기연구원은 이번 성능검사기관 지정과 연계하여 전기제품 성능과 안전에 관한 국제상호인정기구인 「IECEE PV」에도 동 품목에 대한 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기 위해 내년 3월에 정식으로 신청할 예정으로,
ㅇ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는 국내 발급 인증서가 국제적으로도 상호인정이 되어 중대형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관련 국내 수출업체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됨
* 태양광 분야 국제상호인증제도(IECEE PV) : 2008년 에너지관리공단이 국가 인증기관(NCB)으로 지정을 받고, 같은 해 KTL과 에기연이 결정질 태양전지모듈 등 3개 품목에 대한 공인시험기관(CBTL)으로 지정
** IECEE PV(태양광) 회원국 현황 :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싱가포르, 미국, 인도, 한국, 오스트리아, 벨기에, 헝가리, 스페인
< 참고자료 >
1. 신재생에너지 인증대상품목별 성능검사기관 현황/인증 건수
2. 신재생에너지 시험?인증 절차 개요도
3. 인증업체 지원사항 및 인센티브
4. 국내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주요업체 현황
출처 : 지식경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