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신한은행-기술원, 민간분야 녹색금융 확산을 위해 공동 노력을 다짐하는 협약 체결
- 일시?장소 : 2012.12.13(목) 11:30~13:00, 웨스틴조선호텔
- 참 석 자 : 환경부 차관, 신한은행 부행장, 기술원장 등 20명 내외
◇ 녹색기후기금(GCF) 유치 등 녹색금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상황을 맞아 녹색금융 우수사례로 육성 추진
□ 환경부(장관 유영숙)는 13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신한은행(행장 서진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윤승준)과 ‘녹색금융 확산 협약’을 체결했다(붙임1).
○ 이번 협약은 금융 혜택을 통해 녹색중소기업의 기업경쟁력을 강화시키고자 마련한 녹색금융지원 기업평가시스템(enVinance 시스템)을 공동 활용하며 민간 분야의 녹색금융 확산을 위해 힘을 모으고자 추진됐다.
□ 이번 업무협약으로 환경부와 신한은행, 환경산업기술원은 향후 시스템의 고도화 및 적용을 통한 우량기업 발굴, 녹색금융상품 개발?지원 등으로 녹색금융 활성화를 보다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 환경부는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정책인프라를 구축하고 녹색경영?금융 우수사례를 적극 홍보함으로써 금융권 전반에 녹색금융을 확산하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 신한은행은 금융권 차원의 녹색경영 및 녹색금융을 중점 실천할 계획이다.
- 특히, 녹색금융지원 기업평가시스템의 활용 등 환경부 및 환경산업기술원과 협력해 우량 녹색기업 발굴 및 지원에 적극 나서겠다는 포부다.
○ 아울러 환경산업기술원은 금융기관에서 녹색금융 추진에 녹색정보의 부족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고 있는 만큼, 녹색금융지원 기업평가시스템을 통해 환경리스크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업의 신뢰도 높은 환경정보를 분석?제공함으로써 녹색금융을 측면 지원할 계획이다.
□ 이번 협약에 앞서 환경부와 환경산업기술원, 신한은행은 그간 지속적인 논의와 협조를 통해 녹색금융지원 기업평가시스템과 신한은행의 여신시스템을 연계(2012.8.)했다
○ 환경부와 환경산업기술원은 금융기관의 애로사항을 해소해 자율적인 환경관리를 강화하고 환경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등 환경과 금융 간의 선순환체계를 마련하고자 2009년부터 금융기관과 함께 기업평가지표 개발 등을 추진해왔으며, 2012년 금융기관에서 여신?투자 검토 시 환경성과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보화시스템을 구축했다.
- 그간 녹색금융은 환경부하를 저감하는 기술?산업 및 녹색경영 기업 등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사업으로 주목받아왔으나, 환경정보의 부족, 환경분야의 투자 불확실성 등으로 금융기관에서는 녹색금융 추진에 애로를 토로했다.
○ 신한은행은 2010년 전략기획부 내에 그린뱅크팀을 조직하고, 민간은행 중 가장 많은 1조 9천억(2012년 2분기 기준)의 녹색여신을 지원해 왔으며, 금융기관 최초로 그룹 차원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시스템을 구축(2010.11)하고 점포별 자원관리시스템 내 온실가스 관리 기능을 강화(2012.1)하는 등 녹색경영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 환경부 관계자는 “녹색기후기금(GCF) 유치 등으로 녹색금융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현 상황에서의 이번 협약 체결은 타 금융기관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며
○ 특히 “녹색금융지원 기업평가시스템을 활용해 우량 녹색기업 발굴을 지원하는 녹색금융 상품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성과가 기대되는 협약이다”고 밝혔다.
□ 붙임 : 1. 녹색금융 확산 서약서(안). 1부.
2. 녹색금융지원 기업평가시스템 개요. 1부. 끝.
출처 :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