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월∼11월간 2600명 시민이 참여, 지구2바퀴 주행
‘12.12.3(월)부터 유로화 서비스 전환
□ 지식경제부(장관 : 홍석우)는 ‘12.8월부터 제공한 전기차 카쉐어링 서비스를 ’12.12.3(월)부터 본격 유료서비스로 전환할 계획임을 밝힘
ㅇ 전기차 카쉐어링(Car-Sharing) 서비스란 전기차를 시간단위로 필요한 만큼 쓰고 반납하는 서비스로,
ㅇ ‘12.8월부터 약 3개월동안 서울시내 12개 충전소에 전기차 RAY 20대를 무료 체험 서비스로 제공해왔음
* 한전컨소시엄(한전, 한국교통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 동국대학교, AJ렌터카)에서 참여중인 “전기차 공동이용 모델 개발 및 시범운영”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 무상체험기간(’12.8.6∼11.18)동안 시민체험단 총 2,626명(누계기준)이 가입하여, 총 2,037회 차량을 대여하고 91,631㎞를 주행하였음
ㅇ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 86%이상이 전기차에 대해 차량정숙성, 주행능력 및 환경친화성 등 측면에서 만족한다고 응답
- 부족한 차량숫자, 불편한 조작절차 등은 개선이 필요하며, 향후 주행거리 연장 및 인프라 확대를 요구
ㅇ 유료화 전환시에도 93%가 이용의사를 표명하였으며, 향후 요금수준에 따라 최종 이용의사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 많았음
* 기간 : ’12.10. 5∼15(11일간) / 대상자/응답자 : 전기차 경험자 319명 / 189명
□ ‘12.12.3일 개시되는 유료화 서비스에서는 2가지 요금(시간제, 정액) 중에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시간당 평균요금은 6~7천원, 1일 이용시 7만원이 부과됨
ㅇ 다만 편도 대여시 왕복대여요금에 차량재배치 비용(2만원)이 추가 청구되며,
ㅇ 차량지연반납, 예약취소(3시간 이전), 충전기 미연결 등 다음 사용자에 정상적 서비스 제공에 차질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패널티 요금이 적용될 예정임 (홈페이지(www.evshare.co.kr)의 약관 참조)
<전기차 쉐어링 유료화서비스 요금 (왕복대여 기준)>
이용시간 | 시간요금제(A) | 정액요금제(B) | 비고 | ||||
---|---|---|---|---|---|---|---|
주말 | 주중 | 심야 | 1일(24H) | ||||
주말 | 주중 | 주말 | 주중 | ||||
1시간 | 10,000 | 10,000 | 40,000 | 30,000 | 70,000 | 65,000 | ?충전요금 포함 ?주간 : 08시~20시 ?심야 : 00시~익일07시 |
3시간 | 25,000 | 22,000 | |||||
5시간 | 35,000 | 30,000 | |||||
··· | ··· | ··· |
* 12시간 이상시(24시간이내) 1일요금이 적용
□ 한편, 유료화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기존 무상체험기간보다 충전거점(12개→18개), 차량 대수(20대→30대)를 보강할 계획이며,
ㅇ 서울시와는 향후 서울시 카쉐어링 사업에 보급되는 충전기를 회원 정보 공유를 통해 공동 사용하기로 합의하여, 이용자의 편익 제고에 중점을 둘 계획임
< 전기차 쉐어링 거점 구축 현황 >
![]() |
① 한전본사 ② 한전남서울본부 ③ 한전아트센터 ④ 한전북부지사 ⑤ 국회의사당 ⑥ 서울대학교 ⑦ 신도림역 ⑧ 교통연구원 ⑨LGU+(상암) |
□ 송파구청 □ 판교역 □ 정자역 □ 서울역 □ 길음역 □ 창천주차장 □ 목동주차장 □ 천호역 □ 송파변전소 |
* 각 거점은 유동인구, 예상이용계층, 교통수요등 평가를 통해 선정하였으며, 추가구축 충전소 6개소(13~18번)는 차량은 미배치하고 충전용으로만 활용
< 전기차 카쉐어링 시민체험단(무상) vs. 유상서비스 비교>
구분 | 시민체험단 운영기간 (’12. 8. 6~’12.11.18) |
유상서비스 (’12.12. 3~계속) |
---|---|---|
차량대여료 | 무상 | 유상 |
이용시간 | 최대 4시간이내 | 24시간 이내 |
충전소 | 12개소 | 18개소 + α * 서울시 전기차 카쉐어링 충전소 |
이용차량 | 20대 | 30대(일정 변동 가능) |
편도서비스 | 불가 | 가능(추가비용 청구) |
□ 전기차 카쉐어링 서비스는만26세 이상, 운전경력 1년 이상인 내국인은 누구나 홈페이지(www.evshare.co.kr)를 통해 상시가입 가능하며,
ㅇ 기 가입된 회원은 유료회원으로 자동승계되며 향후 1년간 가입비 및 회비 면제 혜택 제공할 예정임
* 단, 신규가입회원은 회원카드 발급비용 등 가입비 1만원 청구 예정
□ 지식경제부는 전기차 카쉐어링을 통해 일반 시민에게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전기차 수요저변을 확대하고, 민간 사업자의 전기차 보급모델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ㅇ 향후에도 다양한 유형의 도시에 적용 가능하고 대국민 홍보 등에 적합한 전기차 보급방안을 마련해나갈 계획임
출처 : 지식경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