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3일 관계부처, 지자체, 학계 등을 대상으로 사용자 워크숍 개최
□ 기상청(청장 조석준)은 「2012년도 국가 기후변화 시나리오 워크숍」을 10월 23일 14시부터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개최한다.
○ 이번 워크숍은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립의 주축이 되는 녹색성장위원회, 환경부 등 정부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 정책 담당자 및 학계, 연구기관 등 150여명이 참가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활용 방향과 노하우를 공유한다.
□ 제 1부에서는 기상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과 응용정보 생산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한반도 지역별 상세 기후변화 전망 정보를 산출한 사례와 부문별 취약성 평가방법을 발표한다.
○ 기상청은 지난해부터 전세계 국가들과 협력하여 2013년 발간예정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5차 평가보고서에 포함될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고 있다.
○ 또한 범국가 차원의 新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행정구역별.지점별 자료를 생산하여 지난 5월 제공한 바 있으며,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지원을 위해 부문별(농업, 보건, 방재, 수자원 등) 응용 기후변화 정보를 생산 중에 있다.
○ 이를 토대로 기상청은 우리나라 미래 기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미래 기후변화 전망보고서”를 12월에 발간할 예정이다. 이 보고서는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를 포괄하는 미래 기후변화 전망을 담은 종합본과 9개 권역별로 기후변화의 상세 특성을 분석한 지역별 전망보고서로 구성된다.
※ 9개 권역 : 서울.인천.경기, 강원, 충북, 대전.충남,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전북, 광주.전남, 제주
○ 한편, 환경부는 올해 16개 기초 지방자치단체와 더불어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이행계획을 수립 중에 있으며, 이를 위한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에 기상청의 新 시나리오를 활용할 예정이다.
□ 제 2부에서 新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활용 사례로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 분야와 전력수요 분야에 대한 영향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 농업 분야는 新 시나리오를 처음으로 적응대책에 반영한 분야로 고랭지 배추, 난지형 마늘 등 미래 농작물 재배적지 예측 결과를 발표한다.
○ 미래 전력수요 예측을 위해서도 기온 전망 자료가 중요하게 사용된다. 전력거래소에서 수행한 2030년까지 기온 변화에 따른 전력수요 예측 결과를 살펴보면, 여름철에는 기온 상승에 따른 기준 수요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이번 워크숍은 기후변화 과학정보의 생산자와 정책입안자 등 사용자와의 소통을 통해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며, 우리나라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물을 참조하시거나 해당과(기상청 한반도기상기후팀 팀장 박정규, 연구관 이은정 02-2181-0452~3)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기상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