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청과 KT, 한국형 마이크로그리드 실증단지 추진 위한 협약체결
□ 행정중심복합도시에?전기와 열에너지의?활용을 최적화하는 한국형 마이크로그리드(K-MEG) 실증단지가 추진된다.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이재홍)은 21일 오전 10시 30분 행복청 브리핑룸에서 KT 종합기술원(원장 홍원기)과 K-MEG 실증단지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 이번 협약은 첫마을 복합커뮤티니센터 등 4개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마이크로그리드 시범사업을 추진, 향후 행복도시 모든 공공건물의 통합관리방안 구현을 위해 마련됐다.
□ 이에 따라 양 기관은 이달부터 오는 2014년 6월까지 행복도시?첫마을에 에너지운영센터(EOC : Energy Operation Center)를?구축·시범운영할 계획이다.
□ 이를 통해?태양에너지와 전력, 냉난방 시스템,?조명 등의 에너지 사용 및 흐름을 모니터링하고,?첫마을 내 공공기관(복합주민센터, 파출소, 우체국,?소방서)의 에너지를? 15% 이상 절감할 방침이다.
□ K-MEG 실증사업의 결과를 활용해 행복도시 모든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에너지통합관리 방안을 구현할?경우 세종시 전체로는?연간 1200만 t의 이산화탄소(CO₂)?배출량 절감효과가 예상된다.
* CO₂1t(톤)의 의미 : 1) 소나타(2000CC) 5000㎞ 운행시 배출량
2) 소나무(묘목기준) 360그루를 심는 효과
□ 이충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은 “2030년까지 CO₂배출량을 70% 감축하고 총 에너지?사용량의 15%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도입할?예정”이라면서 “지난?6월 1차 태양광 발전사업을 통해?전력생산에 들어가면서 당초 설계?용량보다 높은 전력을 생산하고 있는 데다?2015년까지 2차 태양광 발전사업도 추진할?예정이어서 행복도시가 녹색도시, 최첨단 지능형 절전의 명품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한편,?K-MEG 기술은 지식경제부 R&D사업의?일환으로?마이크로그리드?기술을 활용, 건물의?전기·가스·열에너지 생산과?사용을 효율화하는 통합 에너지 관리 기술이다.
○출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