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북극권 자원탐사·개발 참여 토대 닦았다

  이 글을 twitter로 보내기   이 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이 글을 Me2Day로 보내기   이 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이 글을 인쇄하기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 대통령 그린란드 방문 계기 MOU 4건 체결…“자원협력 확대”

이명박 대통령의 그린란드 방문을 계기로 우리나라가 북극권 자원탐사 및 개발 참여의 토대를 마련했다.

청와대는 9일(현지시간) 새로운 자원의 보고인 그란란드를 방문중인 이명박 대통령과 클라이스트 그린란드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한국과 그린란드 간 자원협력 확대를 위한 4건의 MOU가 체결됐다고 밝혔다.

지식경제부-그린란드 자치정부 산업자원부는 자원협력 MOU를 맺고 그린란드 공동 자원지질 조사, 자원탐사 기술개발, 투자촉진 등의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양 부처 간 공식 협의채널을 설치해 향후 장기적인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했다.

한국광물자원공사와 그린란드 국영 광물기업인 누나 미네랄스(NUNA Minerals)사는 공동 지질연구 및 탐사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광물자원협력 MOU를 체결했다.

지질자원연구원과 덴마크·그린란드 지질조사소(GEUS)는 전략금속, 희토류, 리튬 등 그린란드의 유망 광산 탐사·개발을 위한 지질연구 협력 MOU를 체결, 앞으로 구체적인 자원개발 협력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한국 극지과학기술연구소는 덴마크 오후스(Aarhus) 대학교와 극지과학기술 협력 MOU를 맺고 북극의 기후·지질·생물·해양·빙하 등에 관한 공동연구를 수행해 북극 연구의 수준을 높이기로 했다.

그린란드는 막대한 석유·가스 매장량은 물론 희토류 등 광물자원이 풍부해 미국·캐나다·덴마크·노르웨이·일본 등 선진 각국에서 미래 자원 선점을 위해 자원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각축장이 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그린란드 서부 연안에 170억 배럴, 동북부 연안에는 314억 배럴 상당의 석유·가스가 부존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린란드를 포함해 전체 북극지역의 총 석유매장량은 최소 400억배럴, 최대 1600억배럴 수준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전세계 석유 미발견량의 13%에 해당한다.

또한 세계 최대 규모의 희토류 및 광물자원을 보유한 지역으로 현재 10개의 희토류 산출지역이 확인된 가운데, 남부지역의 잠재량만으로도 세계 수요량의 25%를 충족할 것으로 보이는 수준이다.

청와대는 “이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미래 기회의 땅으로 등장하고 있는 그린란드 정부와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자원개발을 위한 장기적인 협력의 기초를 다지게 됐다”며 “앞으로 한국과 그린란드는 ‘개발’과 ‘환경’을 균형있게 접목한 접근 방식으로 최적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출처: 청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