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초중등학교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이 글을 twitter로 보내기   이 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이 글을 Me2Day로 보내기   이 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이 글을 인쇄하기  글자확대  글자축소
첨부파일 (1) 첨부파일 다운로드

교육과학기술부ㆍ경기도 교육청ㆍ한국IBM
한국IBM, 사회공헌활동 일환으로 초·중등학교 에너지 분석 프로젝트 추진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 경기도 교육청(교육감 김상곤), 한국IBM(대표 이휘성)은 학교 에너지 효율화를 기하기 위해 경기도 교육청 산하 300개 초·중등학교에 대한 에너지 사용실태 분석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ㅇ 교육과학기술부와 경기도교육청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전국 시·도 교육청 산하 학교들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는 목표에 따라 다양한 학교들의 특성을 골고루 아우르고 있는 경기도 교육청을 대상으로 초·중등학교 에너지 사용실태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통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한국IBM은 업계 최고의 분석 솔루션과 다양한 빌딩 에너지 분석 솔루션 개발 및 서비스 경험을 기반으로 비영리기관이나 정부기관, 학교 등에 컨설팅과 서비스를 지원하는 IBM 사회공헌 프로그램 ‘커스텀 그랜츠 (Custom Grants)’를 제공하며, 지난 7월 11일 25개 경기도 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설명회를 가진 바 있다.

ㅇ 초·중등학교 에너지 사용실태 분석 프로젝트의 주요 구현 내용은 ▲학교 에너지 사용 현황 파악 (학교별 에너지 사용 현황, 에너지 종류별 사용 현황, 월별/연도별 사용 추이), ▲학교별 상대적 효율 비교 (건물 특성을 고려한 에너지 효율 비교 분석,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에너지 효율 분석), ▲에너지 사용량 예측 (학교별 에너지 사용량 예측, 예측 대비 에너지 사용량이 과다/과소한 이상 현상 확인) 등이다.

ㅇ 이를 통해 학교의 에너지 사용량 분석, 학교 간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현황 비교 등 신뢰도 있는 에너지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고, 건물 구조 및 설비 유형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에너지 소비 및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정책 및 시스템 도입에도 활용이 가능하며, 에너지 사용량 예측 대비 실제 사용량이 상이한 현상 파악과 건물에너지 사용실태 분석을 통해 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 절감이라는 국가 주요 어젠다인 녹색성장을 실천하고, 각급 학교 건물에 대한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방안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ㅇ 학교에서는 에너지 사용량을 평균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하여 사용실태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학생 및 교사들에 대한 환경과 에너지 교육 자료로 활용도 가능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교육과학기술부, 경기도 교육청 및 한국IBM은 경기도 초?중등학교의 에너지사용 분석 결과를 통하여 학교 건물에 대한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방안 마련, 다양한 학교의 에너지 사용기준 및 절감방안 도출과 향후, 에너지사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전국 초?중등학교의 에너지절약 정책 추진에 활용할 계획이다.

*문의 : 교과부 교육시설담당관실 이승재사무관(☎ 02-2100-6299),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이보문사무관 ☎031-249-0493
한국IBM, 사회공헌팀 신지현 차장☎ 02-3781-8903

출처 : 교육과학기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