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춘선 폐철도와 북한강 강변을 활용한‘북한강 자전거길’연내 개통
□ 1939년 개통되어 71년 동안 많은 사랑을 받다가 2010년 12월 20일 역사 속으로 사라진 낭만의 열차 경춘선. 경춘선 기찻길을 이제 자전거로 달릴 수 있다.
○ 버려진 경춘선 폐철도를 활용해 만들게 된 북한강 자전거길은, 남양주 북한강 철교에서 시작해 가평 대성리, 자라섬, 강촌역을 지나 춘천 의암호반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150km로 올해 안에 조성한다.
○ 현재 북한강 강변에는 한강살리기 사업으로 조성된 자전거길(41km)과 지방자치단체 자체 사업으로 조성된 자전거길(72km)이 있다. 하지만, 이 길들이 연결되지 않아 이용객들의 불편과 안전사고 위험이 있어 왔다.
○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행정안전부는 총연장 150km 중 단절구간 37km를 연결하는 ‘북한강 자전거길’ 조성을 추진한다. 단절구간은 경춘선 폐철도 부지(12km), 국도(9km) 및 지방도ㆍ하천 제방길(16km)에 자전거길을 조성해 북한강 종주노선을 완성하게 된다.
□ ‘북한강 자전거길’은 멋진 경관과 추억ㆍ낭만이 함께 하는 라이딩 노선을 제공해 자전거 붐 확산에 기여할 것이다.
○ 대성리·청평 유원지를 거쳐 가평 자라섬, 춘천 의암호까지 이어지는 북한강 자전거길은 아름다운 길로 젊은이들에게는 만남과 낭만을, 노·장년층에게는 추억과 향수를 제공하는 자전거길이 될 것이다.
○ 특히, 경춘선 복선전철 개통(‘10.12월)으로 쓸모없어진 경춘선 폐철도(11.8km)를 활용하고 폐교량(8개소), 폐터널(3개소)을 리모델링해, 예전 춘천 가는 기차 안에서 바라보던 정취를 고스란히 체감할 수 있다.
□ 북한강 자전거길은 환경친화적으로 조성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폐철도에 아직도 남아있는 폐자갈 2만 5천 톤을 재활용해 약 30억원의 골재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남한강 자전거길과 만나는 북한강 철교 아래 하천부지를 자전거 만남의 광장을 겸한 친환경 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 폐선(폐자갈) 활용 자전거도로 비용절감액 : 12km ? 2.5억원 = 30억원(추정)
○ 아울러 주변 관광자원·상권과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을 줄 전망이며, 가평 자라섬 등 주요 캠핑장과 연계해 가족 단위의 새로운 레저문화 확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남한강 자전거 개통 이후 주변상권 매출이 평균 28% 증가 (인천대 선임연구원 권혁철)
○ 또한, 세련된 디자인의 명품 자전거길 조성을 위해 설계단계부터 건축, 조경 등 전문가로 구성된 공공디자인 포럼의 자문을 거쳐 7월 이후 본격적으로 착공할 계획이다.
□ 북한강 자전거길이 개통되면 ‘한강자전거길(63km)’, ‘남한강 자전거길(143km)’과 연계되어 서울∼경기∼강원을 잇는 총연장 356km의 한강 자전거길이 완성되는 것이다.
□ 이와 관련, 행정안전부?국토해양부?환경부?산림청?경기도?강원도?남양주시?가평군?춘천시?철도시설관리공단은 7월 11일(수) 오후 3시 가평군청에서 ‘북한강 자전거길 조성을 위한 관계기관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 맹형규 행정안전부장관은 인사말을 통해 “총연장 1,757km의 4대강 국토종주 자전거길에 이어 추진하는 ‘북한강 자전거길’은 자전거 이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전거길이며, 추억과 낭만이 있는 자전거길이 될 것“이라며,
○ “후손에게 남겨 줘도 손색없는 명품 자전거길 조성을 위해 관계기관 모두가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담당자 : 지역발전과 서기관 전만권 02-2100-3854
출처 : 행정안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