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012년 10대 Green Energy Award 개최

  이 글을 twitter로 보내기   이 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이 글을 Me2Day로 보내기   이 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이 글을 인쇄하기  글자확대  글자축소
첨부파일 (1) 첨부파일 다운로드

전기차 Ray 등 그린에너지 10대 우수기술 선정
청계천 야외 광장 홍보 부스 운영(6.13~15)

□ 지식경제부(홍석우 장관)는 6.13(수) 르네상스 호텔에서「2012년 10대 그린에너지 어워드」를 개최하여 그린에너지 분야의 10대 우수 기술을 선정하여 시상하였음

ㅇ 이날 행사에는 조석 지식경제부 2차관, 안남성 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 김호용 한국전기연구원 원장, OCI 백우석 사장을 비롯한 에너지 분야의 대표 인사들과 연구자, 수상자 등 150여명이 참석

□ 그린에너지 어워드는 산·학·연 연구자들의 성과와 노고를 치하하고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06년부터 매년 개최된 에너지 기술 분야의 대표적인 시상식임

ㅇ 특히, 올해 시상식은 녹색성장이 본격화된 ’08년 이후에 개발한 우수 기술을 선정하여, 지난 4년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그 어느 해보다 의미 있고 뜻깊은 행사였음

□ 4.8:1의 높은 경쟁률 속에 최종 선정된 10개의 그린에너지 기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ㅇ 국내 최초 친환경 고속 전기자동차 Ray(현대기아자동차)

- 친환경 성능과 실용성을 겸비한 국내 최초의 고속전기차로 일회 충전 주행거리 139km, 급속 충전시간 25분 등 동급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
ㅇ 고출력, 고신뢰성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 제조 기술(에스에너지)

- 내부 저항 감소, 투과율 증가 등 태양광 모듈의 발전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제조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1MW의 태양광 모듈 설치시 약 570tCO2 저감 효과*가 발생

* 20년생 신갈나무로 약 0.5km2 면적의 숲을 조성하는 것과 동일 효과

ㅇ 원전 계측제어 시스템 국산화 기술(두산중공업)

- 우리나라의 원자력 3대 미자립 기술 중 하나인 계측제어 시스템* 국산화에 성공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

* 원자력 발전소에 Total Package로 적용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집약된 고부가가치 기술(270개 이상의 컴퓨터 캐비넷이 2~4중화로 연결)

ㅇ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고출력 리튬전지(LG화학)

- 니켈 수소전지와 비교하여 전 항목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으며 저속에서(40km/h) 리튬전지만으로 주행이 가능

* 파워 30%향상, 무게 약23%감소, 자가방전율 25%감소, 부피40%감소, 효율10%향상

ㅇ 풍력발전기용 로터 회전축 독자 제조기술(태웅)

- 세계수준의 자유단조, 열처리 기술을 보유하여 고인성, 고강도 제품생산이 가능하고 현재 세계시장 점유율 20%를 기록

ㅇ 이 외에도 방사성폐기물 처리를 위한 유리화 공정 기술, 제철산업에 적합한 세계 최초 CO2 저감 기술 등 총 10개 기술이 선정되었음

<10대 그린에너지 우수기술>

분야 수상기업 기술명
에너지 자원 LG화학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고출력 리튬전지
현대·기아차 국내최초 친환경 고속 전기자동차 RAY
SK이노베이션 에너지 절약형 C4 올레핀 분리공정 상업화 기술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제철산업에 적합한 세계최초 CO2 저감 기술
신재생 에너지 OCI 태양전지용 초고순도 폴리실리콘 제조기술
에스에너지 고출력, 고신뢰성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 제조기술
태웅 풍력발전기용 로터 회전축 독자 제조기술
전력
원자력
두산중공업 원전 계측제어 시스템(MMIS) 국산화 기술
한국수력원자력 방사성폐기물 처리를 위한 유리화 공정 기술
한국전력 신재생에너지 통합형 차세대 스마트 배전망 운영 시스템

 
□ 10개의 그린에너지 우수 기술은 행사 최초로 6.13(수)부터 3일간 광화문 청계 광장에 야외 홍보 부스를 설치하여 소개될 예정임

ㅇ 10대 기술별로 소개 동영상을 상영하고 도우미의 친절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국민과의 소통과 공감대 형성에 적극 나설 계획임

□ 한편, 지식경제부 조석 제2차관은 상장을 직접 수여하고 축사를 통해 연구자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격려하였음

ㅇ 그린에너지 산업의 도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혁신적 에너지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자들의 노력이 가장 중요함을 강조하였음

ㅇ 또한 에너지 R&D 분야의 기업과 연구소, 대학이 합심하여 우리나라 그린 에너지 산업의 중흥기를 열어가자고 당부하였음

□ 시상식 이후에는 그간의 에너지 R&D 성과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성과 확산 방향을 논의하는 패널 토론회를 개최하였음

ㅇ 좌장을 맡았던 오시덕 풍력PD는 지금까지의 에너지 R&D가 많은 성과를 이루어 저탄소 녹색성장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앞으로는 실제적인 사업화를 활성화하는 게 중요함을 강조하였음

출처 : 지식경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