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스마트그리드, 환경 등 미래 에너지 전망 및 녹색성장 기반 논의??
□ 조 석 지식경제부 2차관(한-알제리 경협T/F 한국측 수석대표)은 5.30(수)~5.31(목), 그랜드 인터컨호텔에서 알제리 경제사절단(단장 : 압데라작 헨니 산업투자부 차관)과 함께 ‘제9차 한-알제리 경협T/F’ 회의*를 개최함
?* 한-알제리 경협 T/F회의 : ‘06.3월, 양국 정상간 “전략적 동반자관계” 선언 이후 민관합동으로 연1회 이상 개최 중(수석대표 :지경부(차관) – 산투부(차관))
ㅇ 한국과 알제리의 정부, 유관기관 및 기업인 등으로 구성된 경협 T/F위원 약 100여명이 참석한 금번 회의에서,
?* 알제리 경제사절단 : 산업중소기업투자유치부, 외무부, 국토개발환경관광부 등 10개 부처 및 알제리 텔레콤, SONATRACH(국영석유공사), SONELGAZ(국영전력가스공사) 등 10개 기관?기업 총 32명으로 구성
?
?ㅇ 양측은 전체회의와 분과회의를 통해 산업?IT, 정책?건설?환경, 에너지?자원, 농수산 등 분야의 양국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하였음
□ 5.30(수) 오전에 있은 전체회의 기조연설에서 조 석 차관은, “알제리는 한국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있는 아프리카 유일의 국가”라며,
?ㅇ “광활한 국토와 풍부한 자원*을 지닌 북아프리카 선도국 알제리와 높은 자원수요와 함께 세계일류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이 상호보완적 경제구조를 활용해 양국이 윈-윈하는 다양한 협력모델을 구축해나가야 한다”라고 강조하였음
??? * 국토면적 238만㎢(아프리카 최대), 석유매장량-세계 14위/122억배럴, 가스매장량-세계 8위/4.5조m3, 내수시장-인구36.7백만?일인당GDP$8,570(PPP기준, EIU, ’11.9월)
?ㅇ 한편, 전체회의에서는 ‘한-알제리 산업협력 기반강화를 위한 시범사업 추진 방안’(한국측)*과 ‘투자유치 및 민간교류 활성화 등 경제협력 저변 확대 방안’(알제리측)에 대한 전문가 발표도 진행됨
???? * 주요 시범사업 : KDI나 KIET를 모델로 한 국영산업연구소 설립, 산업단지 조성에 관한 알제리 산업단지관리청(ANIREF) 지원, 산업 기술센터 설립 지원 등
□ 전체회의에 이어 오후에는 5개 분과별* 회의를 개최하여 20여개 양국 세부협력의제**에 대해 논의와 합의록 서명이 진행됨
???? * 5개 분과 : 협력 / 산업?IT / 건설?환경 / 에너지?자원 / 농수산
??? ** 세부의제 : 산업협력시범사업, 정책지원, 건설?인프라?환경?수자원 분야 협력 확대, 에너지 미래 전망 및 정책, 석유?화학, 농수산 분야 협력 등
?ㅇ 에너지와 산업분과에서는 지능형 운송?전력망?서비스 등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구축, 신재생 에너지 연구?전문가 협력을 제안하는 한편, 알측의 요청에 따라 섬유 전문가를 금년 하반기에 파견키로 함
???? * 에너지산업분야 협력 일정 : 알제리 신재생에너지 포럼 개최 추진(‘12.11월경), 섬유산업엽합회 주관 섬유산업협력회의 및 기술 세미나 개최’12.10월경)
?ㅇ 아울러 건설?환경분과에서는 우리기업의 알제리 인프라 수주지원의 일환으로 도로?신도시 건설?항만 건설 및 공공사업분야 협력과 ‘수자원분야 협력MOU’ 체결 협의가 진행됨
□ 한국 정부부문은 금번 회의에서 도출된 알제리측의 협력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협력사업을 전개하는 한편,
?ㅇ 정부간 협력사업과 연계한 민간부문의 IT 및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 참여, 북아프리카 시장진출 등을 위한 전략적 지원을 지속 추진해 나갈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