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못쓰는 휴대폰을 모아 금속자원 회수와 환경오염 예방은 물론 매각 수익금으로 불우 이웃 돕는다.
- 폐휴대폰 공동수거 캠페인 기간(‘12.5.23~8.31)동안 가까운 이동통신사 대리점, 삼성·LG 등 A/S센터, 하이마트, 이마트, 주민지원센터, 초·중등학교에 폐휴대폰 기부
- 기부자에겐 기념품, 경품추첨권 등 다양한 혜택 부여하고, 폐휴대폰 매각수익금은 연말 불우이웃돕기 성금 기탁
□ 환경부(장관 유영숙)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계철)는 매년 1,800만대 이상 발생하는 폐휴대폰을 모아 재활용을 통해 폐금속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2012년 범국민 폐휴대폰 100만대 수거 캠페인」을 5월 23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 폐휴대폰 수거 캠페인은 지난 2005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최근 폐휴대폰 판매자 회수제도의 시행(’12.1월)과 이동통신사의 중고폰 판매시장 활성화 등을 고려하여
- 휴대폰 제조사, 이동통신사, 참여희망 지자체, 초·증등학교중심으로 100만대 수거를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 환경부는 폐휴대폰에는 금, 은 등 귀금속과 팔라듐 등 희유금속이 함유되어 있어 막대한 금속자원으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강조하고 버려지는 폐휴대폰 수거에 국민적 관심과 적극적 동참을 부탁하였다.
※ 폐휴대폰 1대당 평균적으로 금(0.034g), 은(0.2g), 팔라듐(0.015g), 구리(13.1g),등 16종 금속함유 연간 약 600억원 경제적 가치 보유
※ 폐휴대폰 발생량(‘10년 1,844만대) 중 가정보관량은 약 44.4%(818만대), 수출은 30%(551만대), 25%(456만대)만이 수거되어 재활용(17%) 또는 재사용(8%)
○ 아울러, 폐휴대폰의 매각 수익금 중 일부는 행사지원 비용으로 활용하고, 나머지 금액은 전액 불우이웃돕기 성금 등으로 기탁할 예정으로,
- 이번 수거 캠페인에 폐휴대폰 1대의 기부가 단순히 폐기물의 재활용 단계에 머물지 않고 귀한 자원회수는 물론 주변의 어려운 이웃에게 도움을 주는 기부문화의 확산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11년 폐휴대폰 매각 수익금은 10.8억원으로 지자체에서 장학금과 불우이웃돕기로 10억워 활용, 환경부에서는 환경장학금, 불우이웃돕기 등에 0.8억원 활용
□ 이번 ?폐휴대폰 범국민 공동수거 캠페인?의 주요 내용을 보면,
○ 국민들은 가정에 보관하고 있는 폐휴대폰을 가까운 이통사 대리점, 삼성·LG 등 A/S센터, 지자체 주민지원센터, 대형마트(이마트, 롯데마트), 하이마트, 전자랜드, 사회단체 등에 기부할 수 있으며, 학생의 경우에는 초·중·고등학교를 통해 기부할 수 있다.
- 폐휴대폰 기부자에 대하여는 기념품(환경노트 등) 및 포인트(이마트)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추가로 경품응모 기회도 부여한다.
※ 수거채널 : ①제조사·이통사 대리점, ②전국지자체 인프라(초·중·고등학교, 주민지원센터, 공공기관, 종교·사회단체 등), ③대형마트 영업점, ④정부 부처 및 산하기관 등
○ 수거된 폐휴대폰은 파쇄하거나 개인정보를 초기화하여 수거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계획이다.
○ 지자체와 계약된 사회적기업으로 인계된 폐휴대폰은 지자체의 책임하에 불법수출되지 않고 물질재활용하도록 관리하고,
- 이통사 수거 폐휴대폰 물량 중 재사용이 가능한 휴대폰은 소비자의 동의를 얻어 재사용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 이통사가 소비자의 동의를 얻어 재사용할 경우, 이통사의 중고폰 사업과 연계하여 소비자가 제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
□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폐휴대폰을 포함하여 평소 관심을 두지 않았던 폐자원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 폐휴대폰을 포함한 다양한 생활주변 폐금속자원의 상시수거체계구축 등 후속 발전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