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여름철 전력수급 위기 극복을 위해 모든 경제주체가 동참하는 전력수급 대책을 마련했다.
정부는 16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환경부 등 10개 부처 관계 장관 회의를 열고 ‘하계 전력 수급 및 에너지 절약 대책’을 발표했다.
전력 수급 대책은 내달 1일부터 시행한다.
전력수급 대책에 따르면 우선 정부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출입문을 개방한 채 냉·난방기를 가동하는 다중이용 시설에 대해 일정기간 계도기간을 거쳐 과태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과태료 부과 대상과 시기는 이달말까지 확정된다.
또 전력 피크수요의 50% 이상을 점유하는 산업계는 자발적인 휴가기간 분산, 조업시간 조정, 자가 발전기 가동 등의 절전대책에 동참한다.
이에 따라 산업계의 휴가분산은 8월초 집중돼 있는 것을 8월 중순이후 분산하는식으로 예비전력이 모자란 8월말 전력수급 안정을 도모하게 된다.
조업 특성상 휴가 분산이나 조업 조정이 어려운 정유, 석유화학 업종은 피크시간대 자가 발전기를 최대한 가동키로 했다.
산업체 협조를 통해 확보되는 예비전력은 400만kW(휴가·조업조정 300만kW, 자가발전기 100만kW) 수준으로 원자력 4기 발전량에 해당한다.
정부는 전 국민적인 절전 대책에 대한 협조도 구할 계획이다.
정부는 하절기 피크수요를 유발하는 냉방부하를 억제하기 위해 전국민의 적극적 동참을 당부할 예정이다.
가정용 냉방부하는 전력피크의 21%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를 위해 백화점, 호텔 등 2000TOE 이상을 사용하는 478개소의 대형건물에 대해서는 냉방온도를 26°C로 제한한다.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을 감안해 공공기관 1만9000개소에 대해 전년대비 5%에 해당하는 전기소비절약도 추진된다.
냉방온도는 28°C로 제한하고, 피크시간인 오후 2시부터 5시까지는 지역을 2그룹으로 나눠 그룹별로 냉방기를 30분씩 순차로 중단하고, 에너지절약형 의류 입기(휘들옷), 넥타이 착용 안하기 운동도 추진하는 등 범국민 운동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지경부, 한전, 발전회사 등 전력당국은 ‘전력수급 비상상황실’을 운영해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아울러 김황식 국무총리는 ‘하계 전력수급 상황과 대책’과 관련한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올여름 전력부족 사태에 대비하여 국민 여러분께서 여름철 전기 절약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문의 : 국무총리실 에너지자원정책과 02-2100-2349, 지식경제부 전력산업과 02-2110-4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