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향 유리창에는 태양광을 전기로 바꿔주는 필름이 촘촘하게 부착되어 있고, 햇빛의 양에 따라 실내 밝기도 조절돼
◇ 화석에너지 아닌 지열과 태양 에너지로 냉난방 100% 해결
□ 환경부와 국토부는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조성중인 ‘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의 미래모습을 앞당겨 경험하게 하기 위한 선도사업을 17일 착공한다.
□ ‘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선도사업’은 녹색건축,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등 6대 분야 68개 첨단 친환경 녹색기술이 집약된 미래 저탄소 녹색도시의 축소판을 구현하는 것이다.
○ 특히, 치솟는 유가 등 에너지 위기와 기후변화·환경위기에 동시에 직면하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인구와 산업, 교통시설 등 에너지 사용시설이 집중된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녹색성장을 구현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 환경부는 이 사업을 통해 냉난방(100%)을 비롯한 전체 에너지의 절반 이상(55%)을 태양광·열, 지열 등 화석에너지가 아닌 신재생에너지로 해결할 수 있을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 이를 통해 절약되는 에너지는 연간 약 96만kwh로 285가구가 사용가능한 에너지량에 해당한다.
○ 또한, 에너지 절약으로 탄소배출량도 줄어 중형 승용차가 서울~부산을 2,700회 이상 왕복하는 정도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저감될 것으로 추산된다.
□ 선도사업을 통해 조성될 지역의 건물외관은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해 해송(곰솔)으로 유명한 강릉의 이미지에 맞는 소나무 뿌리를 형상화한 선형으로 디자인했다.
○ 선형으로 설계된 지붕은 태양열 집열판과 옥상녹화를 통해 열효율을 높이고, 비가 올 때 빗물을 흡수해 저장하며 모여진 빗물은 청소용수와 정원조경수로 사용해 물사용량도 절약할 수 있다.
□ 이와 더불어, 남향으로 배치된 유리창으로 쏟아지는 햇빛은 전기를 쓰지 않아도 실내를 환하게 하고, 3중 단열을 통해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낸다.
○ 탄소제로형 주거를 체험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시설별로 에너지 사용량을 직접 확인할 수도 있게 했다.
□ 또한, 시설 내 녹색환승장을 마련하고 타고 온 자동차 대신 친환경 전기자동차와 자전거, 도보로 경포호와 동해, 오죽헌 등 역사·문화유적지를 생태탐방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이를 통해 녹색관광과 문화가 어우러진 옛 도시의 향취를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이를 위해 환경부는 전문가와 지역주민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 사업을 확정하고 17일 개최하는 기공식을 기점으로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 기공식은 17일 경포호 인근 사업부지에서 환경부 장관, 강원도지사, 강릉시장, 지역 국회의원 및 강릉시민 등 5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참석자들은 녹색도시의 본격적인 첫발을 내딛는 자리를 축하하고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다짐할 예정이다.
□ 환경부 관계자는 “강릉이 명품 녹색도시로서 세계적인 도시 브랜드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사업추진에 만전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히는 한편, “이러한 녹색도시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도록 ‘녹색도시 조성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제도적·행정적 지원체계도 완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한편, 정부는 강릉 경포지역을 녹색시범도시로 지정하고 경포호 습지복원 등 29개 사업을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 특히,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과 연계해 강릉의 도시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전 세계에 친환경 녹색도시의 모범사례를 널리 알리게 되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