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총선 폐현수막 처리비 28억?…재활용하면 일자리가 늘어나요

  이 글을 twitter로 보내기   이 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이 글을 Me2Day로 보내기   이 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이 글을 인쇄하기  글자확대  글자축소
첨부파일 (1) 첨부파일 다운로드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폐현수막 업사이클링(upcycling) 전문 사회적 기업 터치포굿과 업무협약 체결하고 환경 지키기와 일자리 창출 도모

□ 지난 4월,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전국 곳곳에는 홍보용 현수막이 잔뜩 내걸렸다.
○ 14일 환경부 환경산업기술원(이하 ‘기술원’)에 따르면, 총선 당시 발생한 폐현수막은 약 1만 4천여 장, 무게로는 21톤에 달한다.

□ 문제는 대부분 재활용하지 않고 소각하거나 매립함으로써 유해물질을 발생시키거나 토양의 오염 문제를 일으키는 폐현수막의 처리다.
○ 기술원에 따르면, 21톤 현수막의 폐기를 위한 처리에는 약 28억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 또한, 현수막을 소각할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와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들이 발생하며, 매립할 경우에도 현수막에 사용된 염료로 인한 토양오염이 우려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폐현수막을 업사이클링(upcycling) 하는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며 환경 지키기와 일자리 창출에 나섰다.

□ 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 분야의 업사이클링 전문기업인 터치포굿(Thouch for Good)과 11일 업무협약을 맺고, 기술원에서 발생하는 폐현수막을 가방이나 파우치 등의 제품으로 재생산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 업사이클링은 폐품을 재활용(recycling)하는 수준을 넘어 재활용 과정과 결과물에 환경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 의지를 담는 활동이다.
○ 폐현수막을 업사이클링 하면 환경 문제를 해소하고 폐기물 처리비용도 줄일 수 있어, 폐현수막 재활용이 사회적 기업의 새로운 사업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 특히, 12월 대선으로 많은 폐현수막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폐현수막 재활용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 환경산업기술원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업사이클링 활성화 및 환경벤처센터 입주를 지원하며 사회적 기업의 확산과 녹색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예정이다.
○ 이를 위해 환경부와 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공단 등의 관계기관, 환경산업체 등과 적극적 협력하며 폐현수막 업사이클링 사업을 독려할 계획이다.
○ 또한, 2012년부터 환경 사회적 기업 1~2곳을 시범적으로 환경벤처센터에 입주시켜 경영 컨설팅, 사업화 자금 알선 등을 지원하고 기업 운영의 노하우를 전수할 전망이다.

□ 환경산업기술원 관계자는 “폐현수막은 재활용하면 더 큰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는 자원이나 그간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기술원에서 발생하는 연간 200kg의 현수막을 모두 업사이클링 할 경우 매년 약 2,800만 원의 처리비용을 절감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환경산업기술원 윤승준 원장은 “환경 분야 사회적 기업은 녹색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풀뿌리 원동력”이라며 “이들을 육성함으로써 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의미를 전했다.

출처 :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