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태양광 산업 재도약 프로젝트 추진

  이 글을 twitter로 보내기   이 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이 글을 Me2Day로 보내기   이 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이 글을 인쇄하기  글자확대  글자축소
첨부파일 (1) 첨부파일 다운로드
“금년중 100MW규모의 태양광 설비 추가 건설(Solar Korea) 등
태양광 산업 재도약 프로젝트 추진”

- RPS 태양광 의무량 조기이행으로‘향후 3년간 260MW 추가 태양광 발전설비 건설 -
- 5년간 1,500억(정부750억) 투자하는 밸류체인 통합형 R&D 추진 -
<주요 내용>
ㅇ 단기 태양광 수요 견인을 위한 국내외 시장 창출 지원
- ‘12년중 총 10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 추가 건설(’13년초 발전 개시)
- 전국 산업단지 공장지붕?주차장에 Sun Roof Belt 구축 추진
- 4대강 사업지구내 발전부지 활용 촉진, 수상태양광 가중치 신설
- 태양광 RPS 의무유예(Borrowing) 인정비율 축소 검토
- 수출보증 제공, 해외종합 정보센터(KOTRA내) 구축

ㅇ 원가대비 효율 2배 향상 위한 통합형 R&D, 금융지원 등 기반 조성
- (R&D, 인력양성) 결정질 밸류체인 통합형 R&D, 선제적 인력양성 등 추진
- (금융) 태양광 금융 119센터, 팩토링 금융?장기성능보장보험 도입

 
□ 지식경제부는 5월 9일(수) 14:00 지경부 다산실에서 조석 제2차관 주재로 관련 업계, 협회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태양광 밸류체인별 주요 기업 간담회를 개최하였음

ㅇ 이날 회의에서는 중국의 저가공세에 따른 공급과잉과 유럽의 보조금 축소, 경제 침체에 따른 수요 위축 등 태양광 업계의 위기요인이 심화되고 있음을 감안하여,

ㅇ「태양광 산업 재도약 프로젝트」라는 주제로 태양광 관련 업계가 직면한 현안에 대한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업계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지원 방안과 국내외 수요확대 방안을 중점 논의함

<그 동안 태양광에너지 추진 성과와 당면과제>

□ 그간 정부는 태양광에너지 활성화를 위하여 ① 내수시장 창출 ② R&D, 금융, 수출 지원 ③ 인프라 강화 등을 추진하여,

* (내수시장 창출) RPS 태양광 별도의무량 도입, 그린홈 100만호 사업
* (R&D) 부품?소재 고품질/저가격화, 박막형 태양전지 상용화 | (금융) 정책자금 융자 | (수출) 해외진출 지원, ODA비중 확대 | (인프라) Test-Bed 구축 등

ㅇ 지난 3년간(‘07∼’10) 태양광에너지 매출이 13.3배, 수출이 26.4배, 일자리가 7배 증가하였고, 태양광 설치용량도 세계 10위를 차지하는 등 많은 성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함

□ 그러나, 최근 태양광 시장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여 가격 하락, 재고 증가 등 어려움이 나타나고, 이와 맞물려 자본제약이 심화됨에 따라 단기적 경영난을 겪고 있음

ㅇ 이에 따라 정부는 보다 직접적이고 업계 친화적인 대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업·관련 협회의 의견수렴과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다음과 같은 대책을 마련·추진하기로 하였음

< ‘태양광 산업 재도약 프로젝트’ 주요전략>

□ 정부는 ‘15년 세계 5대 태양광에너지 산업강국이 되기 위해서 기존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는 동시에, 현 위기 극복을 위한 단기적이고 집중된 지원(Targeted & Temporary Support)을 병행해 나갈 예정임

ㅇ 이를 위해 ① RPS 태양광 의무량 조기이행 등 산업화 기반시장 창출 ② 경쟁력 강화 해외 진출지원 ③ 통합형 R&D 및 인력육성 지원 ④ 신생산업 특화적인 금융제공 등을 추진할 계획임

출처 : 지식경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