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차 녹색성장위원회 및 제7차 이행점검 결과 보고대회 개최
◇ 저소득층·중소기업 등 취약부문 지원 확대하는 공생발전형 에너지 효율 향상 추진
? ‘12∼’15년간 25만 저소득층 가구 대상 주거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 지원
? 목표관리업체가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 향상 지원 사업 시행시 온실가스· 에너지 감축 실적으로 인정
? 전통시장?소상공인?화훼농가 LED조명 설치 지원 규모 확대
◇ 1000억원 규모의 ‘에너지절약펀드’ 조성하여 기업의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 지원
□ 정부는 4.2(월) 16:30 정부중앙청사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녹색성장위원회 양수길 민간위원장 및 위원, 기획재정부 신제윤 차관 등 정부관계자, 지방자치단체장, 시민단체, 각계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제16차 녹색성장위원회 및 제7차 이행점검결과 보고대회』를 개최하여,
ㅇ 에너지 효율화 제고 정책들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에너지 효율 제고방안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였음
□ 김 총리는 그간 범부처적인 에너지 수요관리의 수립과 실행을 통해 에너지효율 지표인 에너지원단위가 조금씩 호전되고는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서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라고 지적하고,
ㅇ 에너지 효율적인 경제체제의 구현을 위해서는 보다 구조적이고 다각적인 개선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 한국의 에너지원단위(toe/천$) : (’00)0.35 → (’05)0.32 → (’10)0.31
** 에너지원단위(toe/천$, ’10) : 韓 0.31, 日 0.10, 美 0.19, 英 0.12, OECD 0.18
□ 녹색성장위원회의 점검결과, 그간 경제 각 부문에 걸쳐 에너지 효율 향상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여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으나,
부문 | 주요지표 | 2008 | 2010 | 증가율 |
---|---|---|---|---|
수송 | 친환경자동차 보급대수 | 6,612대 | 19,447대(’11년 기준) | 3배 |
1등급(15km/ℓ이상) 차량 보급대수 | 29,870대 | 444,369대 | 15배 | |
자동차 평균연비 | 11.47km/ℓ | 12.87km/ℓ | 12.2% | |
하이패스 이용률 | 30.0% | 50.2% | 67.3% | |
건축물 | 건축물 효율 1등급 세대수 | 1,119세대 | 51,658세대 | 46배 |
기기 | 에너지효율등급 적용기기 판매대수 | 1억 3,806만대 | 1억 6,390만대 | 18.5% |
대기전력저감 우수제품 판매대수 | 1,301만대 | 2,248만대 | 72.8% |
ㅇ 저소득층·농가·중소기업 등 취약부문의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이와 같은 이행점검 결과를 토대로 정부는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저소득층·중소기업 등 취약부문의 에너지 효율 제고를 위한 지원을 확대하는 공생발전형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을 중심으로 『에너지 효율 제고 방안』을 마련해 보고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ㅇ 저소득층이 주택의 창호·단열·바닥·보일러 등을 에너지 고효율로 교체하여 에너지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12~‘15년간 약 25만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에너지 효율 개선사업을 지원
ㅇ 아울러, 온실가스·에너지를 의무적으로 감축해야 하는 목표관리업체*가 저소득층의 에너지 효율 향상, 노후 화물자동차 교체 지원 등의 온실가스·에너지 감축사업을 시행할 경우 해당업체의 (외부)감축실적으로 인정하여
- 민간기업이 저소득층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지원에 나설 수 있도록 인센티브 제공
*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 온실가스·에너지 다배출(다소비)업체에 온실가스·에너지 절감 목표를 부과하고 이행을 관리하는 제도(‘12.1 시행)
ㅇ 전통시장·소상공인·화훼농가 등의 LED 조명 설치를 위한 재정지원을 ‘15년까지 ’12년 대비 2배 수준으로 확대
ㅇ 기업의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를 위한 재정융자자금* 중 중소기업에 대한 우선융자비중을 확대1)하고 융자조건을 개선2)하여 중소기업 자금 지원을 강화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에서 기업의 에너지절약시설 투자자금을 융자(‘12년 예산 5,298억원)
1)우선융자비중(%):(‘12)60→(‘13)80→(’14)100
2)융자조건 : (현행) 금리 : 변동금리(기준금리-1.5%p)만 가능, 상환기간 : 5년상환
(개선) 금리 : 고정금리(연2.75%) 선택 가능, 상환기간 : 7년상환
□ 이외에도 기업의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를 위하여 최대 1,000억원 규모의 『에너지절약시설펀드』를 조성하고, 국공립 학교를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대상에 포함하며,
ㅇ 에너지 효율 분야 R&D 예산을 ‘15년까지 ’11년 대비 2배 수준으로 확대하는 등 다각적 에너지 효율 정책을 추진키로 하였음
□ 한편, 이 날 참석한 민간위원들과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에너지소비 증가율, 특히 전력의 소비 증가율(5.3%)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나타나고 있으나,
ㅇ 전기요금은 선진국 수준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지적하고,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과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전기요금의 현실화가 핵심 과제임을 지적함
< 에너지 소비 증가율 (’00~’10, %) >
? | 한국 | 일본 | 독일 | 미국 | 영국 | OECD |
---|---|---|---|---|---|---|
에너지 소비 총량 | 2.7 | △0.5 | △0.2 | △0.2 | △0.9 | △0.2 |
전 력 소 비 | 5.3 | 0.2 | 0.6 | 0.7 | △0.1 | 1.0 |
GDP 증가율 | 4.1 | 0.8 | 0.9 | 1.7 | 1.4 | 1.5 |
* 출처 : IEA, Energy Balances of OECD Countries 2011
< 전기요금 국제비교(’10년 기준) >
? | 한국 | 일본 | 독일 | 미국 | 영국 | OECD |
---|---|---|---|---|---|---|
주거부문 ($/kWh) (요금수준,%) |
0.083 (100) |
0.232 (280) |
0.325 (392) |
0.116 (140) |
0.199 (240) |
0.157 (189) |
산업부문 ($/kWh) (요금수준,%) |
0.058 (100) |
0.154 (266) |
0.139 (240) |
0.068 (117) |
0.121 (209) |
0.107 (184) |
* 출처 : Energy Prices & Taxes, 3rd Quater 2011(OECD/IEA)
Sorry. No data so f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