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Ⅰ. 경기도의 녹색성장 여건과 과제
1. 녹색성장 여건과 과제 11
2. 녹색성장 SWOT분석 17
Ⅱ. 경기도 녹색성장 비전과 전략
1. 경기도 녹색성장 비전 21
2. 경기도 녹색성장 중점 전략 22
Ⅲ. 분야별 추진상황
대한민국 녹색 신산업중심지 경기도 27
1. 녹색기술개발 및 성장동력화 29
1-1. 서해 녹색복합지구 조성30
1-2. 가정용 수소연료전지 보급 기술개발 촉진 34
1-3. 차세대 융합 연구산업 인력양성 촉진 35
1-4. 하수처리수 재이용 물처리 산업육성 35
1-5. LED 조명, 공공기관 보급 민간부문 확산 36
1-6. 경기-서울 광역교통정보 경기교통정보센터에서 한눈에 37
1-7. 경기?서울?인천 버스정보 실시간 제공으로 대중교통 활성화40
1-8. 공공 하수처리 시설 에너지 자립화 시범사업 추진41
2. 산업의 녹색화 및 녹색산업 육성 43
2-1. 소형 폐가전제품 수거 확대 재활용 활성화 44
2-2.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의무사용 대상범위 확대 44
2-3.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총량관리 45
2-4. 굴뚝자동측정기기 설치운영으로 사업장 대기오염 관리 46
2-5. 순환골재, 재생아스팔트 사용 친환경 건설공사 46
2-6. 2011 세계유기농대회 성공개최로 유기농관련 산업 확산 47
2-7. 친환경농산물 유통센터 유기농산물 연구기능 강화 48
2-8. 녹색산업 기업 외국시장 진출 지원 48
2-9 반도체, IT, 자동차 관련 신재생에너지 산업 외국인 투자유치 49
2-10. 경기도? 환경관련 시민단체 환경닥터제 힘모아 49
2-11. 중소사업장 저녹스 버너 보급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50
2-12. 주유소 유증기 회수시설 설치비 지원 등 조기설치 추진 50
2-13. 녹색중소기업 창업 지원, 신용보증 우대 51
2-14. 의왕, 철도산업특구로 거듭난다 51
2-15. 반월시화산단 등 5개 생태 산업단지 폐기물 에너지재활용 지원 52
2-16. 평택?파주?연천 산단 폐수종말처리 시설 설치 52
2-17. 산업체 Stop Co2 멘토링 53
2-18. 중소기업 그린경영 무상지원 서비스 53
2-19. Green-All 사업 추진 54
2-20. 녹색산업 육성을 위한 녹색산업대상 선정 56
2-21. 평택 고덕지구 산업단지 조성 56
2-22. LED, 태양광 부품소재기업 상생협력 지원 57
3. 산업구조의 고도화 60
3-1. 광교테크노밸리 R&D 클러스터 조성?운영 61
3-2. 경기바이오센터 의약품 개발 61
3-3. 의료기기 산업지원센터 구축 62
3-4. 화성 바이오밸리 의약품부터 화장품까지 첨단산업육성 63
3-5. 신재생에너지 기업 녹색성장(3G) 펀드 지원 64
3-6. 스마트폰, 기능성게임 등 융합형 콘텐츠 개발 및 인력 양성 64
3-7. 기능성게임페스티벌 개최 게임지원센터 운영 65
3-8. 국제 의료활성화 사업 추진 65
3-9. 유휴지 태양광 발전시설 조성 66
4. 녹색경제 기반조성 68
4-1. 공공기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 69
4-2. 체육관, 주차장 등 공공시설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70
4-3. 가정 및 상업건물 탄소포인트제 기업?산업부문 확대 71
4-4. 창문, 바닥 단열시공 등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개선 72
녹색도시?교통의 글로벌 선도지역 육성75
5. 녹색도시?교통의 조성 77
5-1. GTX 3개노선, 수도권교통 탄소감축 혁명 실현 79
5-2. 지하철 역사내 수목식재 등 도시농업 개발 82
5-3. 광교 바람길, 녹색보행길과 통하다 83
5-4. 화성 통탄(2)신도시 에너지 자립마을 추진 84
5-5. 화성 통탄(2)신도시 복합환승센터 대중교통 활성화 85
5-6. 평택소사벌지구 주택, 학교, 청사 태양광 사용 활성화 86
5-7. 뉴타운지구 자연생태 복원 및 대중교통수단 활성화 87
5-8. 광명, 시흥지구내 생태하천 조성을 통한 녹색도시건설 88
5-9. 광교신도시 LED가로등 설치 89
5-10. 도시 주민 1인당 공원면적 늘린다 89
5-11. 건물 옥상에 나무심고 벽면엔 담쟁이 덩굴 90
5-12. 도청사 LED조명, 콘센트 등 에너지 설비 표준화 91
5-13. 경의선, 중앙선, 수인선 개통을 통한 광역철도 인프라 구축 92
5-14. 용인?의정부 경전철 건설 추진 94
5-15. 교통카드 전국호환 및 간선버스 운영을 통한 대중교통연계체계 강화 95
5-16.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 96
5-17. 교통환승센터 설치 편리한 교통 대기오염 감축98
5-18. 교통혼잡지역 신호체계 개선, 빠른 교통, 탄소 감축99
5-19. 저탄소 에너지 자립형 Green-Port 구축 100
5-20. 자동차 공회전 제한장치 부착 및 제한지역 지정 101
5-21. 천연가스자동차, 친환경 저공해 자동차 보급 지원 101
5-22.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확대 102
5-23. 매연배출 초과한 경유차 운행제한 추진 102
5-24. 씽씽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구축 103
5-25. 자전거 이용활성화 문화 조성 105
5-26. 회전 교차로 설치사업 106
5-27. 공동주택 G-Rain 하우징 시범 사업 107
5-28.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주택 추진 108
5-29. 뉴타운사업 저탄소?녹색 가이드라인 적용 109
국가 100년대계의 기후변화 적응체제 확립 113
6.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 115
6-1. 방역도 친환경으로, 민간 자율 방역단 뜬다117
6-2. 아토피?천식 걱정 끝! 아토피?천식 예방교실 운영118
6-3. 미생물을 이용 수산양식, 생산량 높이고 환경오염 줄이고119
6-4. 친환경 김양식, 바지락도 종패 ‘두마리 토끼 잡기’120
6-5. 인공어초 심고 치어방류, 수산자원 풍성120
6-6. 농사도 전문경영시대! 쌀 전문 경영인 육성121
6-7. 치수 및 한강정비로 4대강 살리기 앞장122
6-8. 댐, 수중보, 농업용저수지 활용 소수력 발전 건립123
6-9. 연안정비 환경개선으로 재해 예방124
6-10. 예?경보시스템 구축으로 재해 사전대응125
6-11. 상습침수지역 배수펌프장 신설 등 정비사업126
6-12. 빗물 받는 시설설치 홍수예방, 물 부족 대처127
6-13. 수해복구도 생태환경 고려 친환경 수해복구128
6-14. 자연휴양림, 수목원 등에 산림휴양시설 조성129
6-15. 산불 방지 강화로 문화재 보존과 탄소배출 ‘제로’130
6-16. 산사태, 사방사업으로 예방한다131
6-17. 산림 병해충 대책본부 산림 생태계 지킨다132
6-18. 경기도와 산업체가 함께하는 농경지 온실가스 감축133
7.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136
7-1. 매년 1그루씩 10년이면 1억그루 나무심기 운동138
7-2. 녹색연료 목재팰릿 보급, 팰릿 보일러도 놓아 드려요138
7-3. 경기도 온실가스 배출 지도 만든다 139
7-4. 광역버스, 저상버스, 수도권통합요금제, 온실가스 감축 3대 효자 140
7-5. 에너지 사업장 목표관리제 추진141
7-6. 친환경 비료 공급으로 이산화질소 감축한다141
7-7. 벼, 옥수수, 고추, 배추로 온실가스 감축 비료 만든다142
7-8. 가축분뇨 활용하면 자원절약, 메탄가스 감축 ‘O.K’143
7-9. 가축분뇨 악취 미생물로 줄인다 144
7-10. 숲 가꾸면서 탄소 줄이고 일자리 창출하고145
7-11. 리기다소나무 등 ‘불량림‘변신 바이오순환림으로146
7-12. 중국 쿠부치 사막 황폐화 경기도 녹색생태원이 막는다147
7-13. 북한 개풍 양묘장에 종자 지원 양묘기술 전수148
7-14. 남북 공동 녹색프로젝트! 바이오가스 플랜트 건설149
8. 에너지절약 및 자립 강화 151
8-1. 에너지절약 공공기관이 앞장선다153
8-2.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간 쌍방교류, 에너지 효율 높인다154
8-3. 평택 신재생에너지 산업단지 조성 지원155
8-4. 신재생에너지 국제전시회 지원 수출 물꼬155
8-5. 산?관?학, 신재생에너지 산업혁신클러스터로 통한다156
8-6. 주택, 공공건물 태양광 설치 그린 홈 조성157
8-7. 가연성폐기물로 연료만들고 소각장의 열도 재활용158
8-8. 음식물쓰레기로 에너지를 만든다158
8-9. 가축분뇨 메탄가스로 난방, 우수 기술 저개발국 보급159
8-10. 도시가스 공급 가구수 늘린다160
8-11. 신재생에너지 사업 가로막는 규제 개선160
8-12. 지역에너지 절약 사업 추진161
도민참여형의 녹색생활혁명 추진163
9. 생활속의 녹색실천 165
9-1. 녹색구매?녹색소비 생활문화 확산167
9-2. 도내 대학 온실가스 감축 나선다167
9-3. 민간단체 주도의 녹색생활운동 전개 지원168
9-4. 우리집 에너지 절약방법 ‘그린홈콜센터’에 물어보세요169
9-5. 사람많은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는 필수!169
9-6. 기후변화 대응 ‘그린스타트’ 운동 함께해요170
9-7. 녹색생활 지표인 푸드마일즈 표시제 도입170
9-8. 녹색성장 종합 추진 체험센터 건립171
9-9. 공직자 녹색성장 교육 및 체험실시172
9-10. 가평 짚 와이어 조성172
9-11. 남양주 폐역사 관광상품화 추진173
9-12. 경기 레포츠 페스티벌 개최173
9-13. 여성들이 만드는 녹색생활 문화174
Ⅳ. 녹색성장 추진체계와 재정투자 계획
1. 녹색성장 추진체계 179
2. 재정 투자계획 182
3. 경제적 기대효과 184
부록
1. 추진과제 현황 187
2. 실?국, 실?과?소별 추진과제 목록 188
3. 경기도 녹색성장 추진계획의 성격과 수립경과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