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경제부는 현재의 기후회담 진행상황 등을 고려할 때 2012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 1차 공약기간(2008~2012) 이후 적어도 5년 뒤에야 신규 국제기후협약 체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 호주와 노르웨이는 2015년까지 UN체제하의 신규 국제기후협약을 체결하자고 요청 하였으나, 일본은 이달초 모든 주요 배출국이 그때까지 동 협약에 참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거부
◆ 또한, 경제부는 2012년 이후 공동이행제도* 역시 중단될 가능성이 높아 다른 체제를 이용할 대비가 필요하다고 주장
? * 부속서 I 국가들 사이에서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투자하여 감축한 온실가스 감축량의 일부분을 투자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하는 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