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에너지 절약·탄소배출 절감…“LED가 효자네” (11.07.05, 공감코리아)

  이 글을 twitter로 보내기   이 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이 글을 Me2Day로 보내기   이 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이 글을 인쇄하기  글자확대  글자축소

[에너지 강국으로 가는 길을 찾아서] ③ LED 조명
2060목표 달성시 50kW급 화력발전소 7~8개 대체 효과 

2004년 이전까지 배럴당 30달러를 유지하던 국제 유가가 최근 리비아 사태 등 중동정세 불안정으로 한때 120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신고유가 시대가 지속될 수 밖에 없는 현실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이 최선의 절약으로 인식되고 있다. 공감코리아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에너지 소비 방안 및 모범적인 실천 사례를 살펴본다. (편집자주)

에너지 수급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생활과 산업현장에서 에너지 절약과 효율화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정부가 고효율 조명인 LED(Lighiting Emission Diode) 조명 보급율을 높여 고효율 조명사용을 유도하고 있다. LED는 백열전구 소비전력의 20% 수준에 불과한데다 수명이 5만 시간에 이른다. 다른 조명기구에서 나오는 수은이나 납과 같은 환경오염물질도 배출되지 않아 정부의 녹색성장 기조에 따라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하나의 백열등을 LED로 교체하면 연간 한 그루의 가로수를 심는 것과 같은 30kg 가량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전 세계 저효율 조명을 LED 조명으로 교체할 경우 약 2억 그루의 소나무를 심어야 줄일 수 있는 6억 300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

지난달 8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개최된 제11차 녹색성장위원회 보고대회에서는 관계부처 공동으로 녹색 LED조명 보급 활성화방안이 확정·발표됐다.

정부는 우선 2020년까지 LED 조명 비중을 국가 전체의 60% 수준까지, 공공기관은 100%까지 높이기로 했다. 현재 국가 전체 LED 조명 보급률은 2.5% 내외로 미흡한 수준이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4대강, 세종시, 학교, 산업단지 등 공공 부문에 LED를 대량 보급키로했다. 설치 지원금 비중도 현행 50%에서 70%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지하철과 대중교통, 가로등, 터널조명 등 도로·교통시설 조명도 LED로 교체된다.

민간 부문은 올해부터 2015년까지 1000억원의 민간보조금을 지원하며 전통시장, 소상공인 광고간판 등을 고효율 조명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주유소 등의 옥외간판도 옥외광고물 관리법 등을 개정해 확대할 예정이다.

신규 공동주택은 ‘친환경주택의 설계기준 및 성능’ 규정을 개정해 지하주차장 등에 LED 등 고효율조명 설치를 의무화 할 방침이다. 기존 주택은 개·보수시 LED 조명 고체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체계적인 LED조명 보급 기반 구축을 위해 LED 핵심 소자·부품 R&D를 확대해 LED 조명의 효율향상 및 가격 하락을 유도할 방침이다. IT를 활용, LED시스템조명 등 인간 감성을 고려한 고급 조명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소비자 신뢰 제고를 위해 LED 표준 및 인증대상 품목을 지속 확대하고, 광출력·연색성·수명 등 LED 조명 제품특성을 소비자가 인식하기 쉽게 조명성능 표시라벨을 개선한다.

민간중심의 LED산업포럼을 신설해 LED 대·중소기업간 역할분담과 유기적 협력체계 강화를 지원하고 동반성장의 기틀을 마련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기업은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 부분을 집중하고, 중소기업은 기술력을 가진 기술중심 전문기업으로 성장하도록 유도한다.

지식경제부 안성일 에너지관리과장은 “이번 LED 조명 2060 목표를 차질없이 달성할 경우 2020년에는 50kW급 화력발전소 7~8개를 대체하는 에너지 절감효과가 기대된다” 며“산업·경제적으로도 LED 산업이 현재의 반도체산업 규모로 성장해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도약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사원문: http://www.korea.kr/newsWeb/pages/brief/categoryNews2/view.do?newsDataId=148714642&category_id=subject&subjectName=economy&section_id=EDS0105003&metaId=main_news&pWise=null

태그아이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