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개념
개념
추진배경
국가전략
국가전략
5개년계획
미래비전
녹색성장정책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자원 절약
기후변화 적응
녹색기술·산업
녹색 국토·생활
지역녹색성장
시ㆍ도 추진계획
시ㆍ도 보고자료
우수사례
녹색 도시ㆍ마을
녹색교육기관
보고대회 자료
주요소식
정부소식
산업소식
지역소식
국제소식
위원회소식
소식
위원장 일정
위원장 동정
기타소식
Rio+20 (UN환경개발회의)
그린레터
교육자료
홍보자료
연구자료
통계자료
보고대회 자료
멀티미디어
녹색법령
용어사전
추천도서
관련사이트
녹색체험
녹색성장체험관
이동체험관
지역녹색성장체험명소
녹색실천
녹색생활이란?
녹색생활의 지혜
녹색실천UCC
녹색실천갤러리
지역행사
녹색칠판
묻고 답하기
자주묻는 질문
인사말
위원장인사말
단장인사말
위원소개
당연직위원
민간위원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및조직
위원회및기획단기능·조직
직원연락처
위원회근거법령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시행령
녹색성장위원회규정
위원회로고
찾아오시는길
개념
개념
추진배경
국가전략
국가전략
5개년계획
미래비전
녹색성장정책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자원 절약
기후변화 적응
녹색기술·산업
녹색 국토·생활
지역녹색성장
시ㆍ도 추진계획
시ㆍ도 보고자료
우수사례
녹색 도시ㆍ마을
녹색교육기관
보고대회 자료
주요소식
정부소식
산업소식
지역소식
국제소식
위원회 소식
소식
위원장 일정
위원장 동정
기타소식
Rio+20 (UN환경개발회의)
그린레터
교육자료
홍보자료
연구자료
통계자료
보고대회 자료
멀티미디어
녹색법령
용어사전
추천도서
관련사이트
녹색체험
녹색성장체험관
이동체험관
지역녹색성장체험명소
녹색실천
녹색생활이란?
녹색생활의 지혜
녹색실천UCC
녹색실천갤러리
지역행사
녹색칠판
묻고 답하기
자주묻는 질문
인사말
위원장인사말
단장인사말
위원소개
당연직위원
민간위원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및조직
위원회및기획단기능·조직
직원연락처
위원회근거법령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시행령
녹색성장위원회규정
위원회 로고
찾아오시는 길
전체
교육자료
홍보자료
멀티미디어
연구자료
통계자료
보고대회 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추천도서
용어사전검색
검색어 입력
탄소공개리더십지수 [CDLI (Carbon Disclosure Leadership Index)]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는 2000년 세계 금융투자기관들이 기후변화가 기업에 심각한 위기와 중대한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기후변화가 기업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에 관한 정보 수집을 위해 자발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기구이자, 프로젝트 명이다. 비영리기구로서 CDP는 전세계 금융기관을 대신해 전세계 주요 기업에 기후변화 이슈와 관련, 그 기업이 가지는 기회와 위험, GHG 배출, 감축계획 등의 성과, 거버넌스 등에 관한 질문서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을 분석, 투자자들에게 투자의 지침이 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CDLI는 기업들이 응답한 질문서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 응답기업의 탄소정보공개 수준을 수치화시키기 위한 방법론이다. CDP와 세계적인 회계기관인 PwC가 공동개발한 CDLI에는 10%를 편입해 발표한다. 즉 Global 500을 대상으로 한 CDP의 CDLI 편입기업으로 50개 기업을 발표한다는 말이다. CDLI 편입 조건이 있는데, 자신들이 응답한 설문서를 공개(Public)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올해 Global 500에 속한 우리나라 기업은 삼성전자, 포스코, 한전, SK텔레콤 등 4개사로, 이중 삼성전자는 87점을 획득해 공동 10위를 기록, CDLI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한국은 글로벌 기준인 CDLI를 적용하되, 한국적인 특성에 부합되게 점수를 달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평가항목 중 우리나라에는 전혀 해당사항이 없는 EU-ETS를 제외시키는 방식으로 평가하고 있다. CDP 질문서는 투자자와 기업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매년 보충될 뿐만 아니라 심층적이 된다. CDLI 또한 그 평가방식이 매년 진화되고 있다.
탄소세[Carbon Tax]
대표적인 온실기체인 탄산가스의 방출을 줄여 지구 온난화를 막자는 뜻에서 석유와 석탄 등 화석연료의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도입된 세제. 핀란드가 1990년 1월 처음 도입한 데 이어 네덜란드(1990년 2월), 노르웨이(1991년 1월), 스웨덴(1991년 1월), 덴마크(1992년 5월) 등 북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다. 미국은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20%를 배출하고 있으나 아직 탄소세를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BOD [Biological Oxygen Deman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iological Oxygen Demand) 또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을 말한다. 물 속에 녹아있는 유기물의 양이 얼마나 많은가를 나타내는 수질오염 지표다. 유기물은 생물체나 동식물이 배출한 물질의 양을 나타낸다. 유기물 오염이 심할수록 BOD 값은 높아진다. BOD는 유기물 가운데서도 미생물이 쉽게 분해할 수 있는 유기물의 양만을 나타낸다. 그 이유는 측정방법을 보면 알 수 있다. 먼저 BOD를 측정하려는 물에 공기를 잔뜩 불어 넣은 뒤, 유리병 세 개에 똑 같이 옮겨 담는다. 병 하나(A)는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을 분석한다. 다른 두 개의 병(B, C)은 공기가 드나들지 못하게 꼭 막은 다음 25도에서 5일 간 배양한다. 5일 동안 물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산소를 소비하도록 한다. 5일이 지난 다음 두 개의 병에 녹아있는 산소의 농도를 분석한다. 5일 배양하는 사이 줄어든 산소의 양을 계산한다. A의 산소농도 값에서 B와 C의 산소 농도 평균값을 빼면 된다. 그게 BOD 값이다. BOD값은 산소의 양으로 물 1L당 산소 몇 ㎎으로 나온다. 이는 ppm으로 바꿔쓸 수 있다.
COD [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로서 물 속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의 양을 나타낸다. 생물체나 동식물이 배출한 유기물을 산화제로 산화시키고, 거기에 들어가는 산화제의 양을 바탕으로 유기물의 양을 계산해 낸다. COD 분석은 산화제로 어떤 것을 쓰느냐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중크롬산칼륨을 사용한 경우를 크롬법, 과망간산칼륨을 사용하는 경우를 망간법이라고 한다. COD는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보다는 유기물을 더 많이 분해한다. COD도 BOD와 마찬가지로 유기물 산화에 들어가는 산소의 양을 L당 ㎎, 혹은 ppm(100만분의 1)으로 표시된다.
CDM 집행위원회 [CDM EB (Exeutive Board)]
CDM 집행위원회는 CMP의 권위와 지침을 바탕으로 CDM 전반을 감독한다. CDM-EB는 CDM 사업의 운영규칙을 만들고 CDM 사업의 타당성을 최종 판정해 등록하고 CERs(CDM 사업으로 인한 감축실적)의 승인과 발급을 수행하는 일을 주요업무로 하고 있다.
EPI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환경성과지수]
환경성과지수(EPI)란 세계경제포럼(WEF, 다보스포럼)이 각국의 환경과 관련된 경제, 사회 정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환경지속성지수(ESI)와 함께 발표하는 지수로, 국가의 노력으로 환경이 개선된 정도를 나타낸다. 지난 2001년부터 세계경제포럼 산하의 환경대책반에서 미국 예일대학 및 콜럼비아 대학 환경연구소와 공동으로 이들 지수를 1∼3년 간격으로 발표하고 있다. 환경성과지수(EPI)는 환경보건, 대기질, 수자원, 자연자원, 생물다양성, 에너지 6개 분야 16개 변수로 구성되며, 분야별 점수비중은 환경보건 50%, 나머지 분야 각 10%이다. 2008년도 평가는 환경보건, 대기오염, 물, 종다양성 및 서식지, 자연자원, 기후변화 등 6개 지표ㆍ25개 세부항목에 대해 실시했다. 우리나라의 2008년 환경성과지수(EPI)가 조사대상 100점 만점에 79.4점을 얻어 149개국 중 51위에 머물렀다. 이는 지난 2006년 EPI 평가에서 42위를 차지했던데 비하면 상당히 떨어진 것이다. 이번 평가에서는 스위스가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스웨덴·노르웨이 등 북유럽 나라들이 최상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21위, 미국은 39위, 중국 105위였다.
Annex I [협약의 부속서 I 국가]
기후변화협약에서 구속력 있는 감축의무를 부담하는 국가를 의미하며 교토의정서 4.2(a)와 (b)조항에 따라서 2000년까지 1990년대 수준으로 온실가스 방출량을 줄여야 한다. 기후변화협약 채택 당시에는 35개국이었으나, 1997년 제3차 당사국 총회시에는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슬로비니아, 모나코, 리히텐스타인 등 5개국이 추가되어 현재는 40개국에 이르고 있다.
Annex A [교토의정서의 부속서 A]
교토의정서가 지정하는 여섯가지 온실가스와 그 가스들을 방출하는 분야 및 배출원 목록. CO2(이산화탄소), CH4(메탄), N2O(아산화질소), HFCs(수소불화탄소), PFCs(과불화탄소), SF6(육불화황)
Annex B [교토의정서의 부속서 B]
교토의정서가 제시하는 부속서 Ⅰ 국가들의 첫 의무이행기간 동안의 기준년도에 대한 배출한도 및 감축 목표 목록. [참고] QELRC (Quantified Emission Limitation and Reduction Commitment) : 당사국들에 할당된 부속서 B의 감축목표를 지칭하는 교토의정서의 공식용어
Annex II [협약의 부속서 II 국가]
개발도상국의 재정적, 기술적 지원 의무를 가지고 있는 부유한 나라들의 명단이다. Annex I 국가에서 동구권 국가가 제외된 국가군으로 OECD 24개국과 EU(유럽연합)이 포함됨.
트위터
"
[그린레터 157회] “녹색위 민간위원, 녹색성장 10…
http://t.co/okBzAQPj
"
"
오늘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1~…
http://t.co/uCDeu9xV
"
"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 공모
http://t.co/dGpYFgLi
"
녹색성장체험관...
2011/12/21
미래농업의 성장동력인‘식물공장’시범 추진
녹색성장위원회「그린레터」제157호 입니다
기후변화 국제표준화 선도
배출권 거래 중개 민간 자격증, 주의하세…
교과부-순천시, 환경과 녹색성장 체험활동…
[동영상] 녹색성장 성과
explorer 7 이상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explorer 6 에서는 자료다운로드 시 오류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