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개념
개념
추진배경
국가전략
국가전략
5개년계획
미래비전
녹색성장정책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자원 절약
기후변화 적응
녹색기술·산업
녹색 국토·생활
지역녹색성장
시ㆍ도 추진계획
시ㆍ도 보고자료
우수사례
녹색 도시ㆍ마을
녹색교육기관
보고대회 자료
주요소식
정부소식
산업소식
지역소식
국제소식
위원회소식
소식
위원장 일정
위원장 동정
기타소식
Rio+20 (UN환경개발회의)
그린레터
교육자료
홍보자료
연구자료
통계자료
보고대회 자료
멀티미디어
녹색법령
용어사전
추천도서
관련사이트
녹색체험
녹색성장체험관
이동체험관
지역녹색성장체험명소
녹색실천
녹색생활이란?
녹색생활의 지혜
녹색실천UCC
녹색실천갤러리
지역행사
녹색칠판
묻고 답하기
자주묻는 질문
인사말
위원장인사말
단장인사말
위원소개
당연직위원
민간위원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및조직
위원회및기획단기능·조직
직원연락처
위원회근거법령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시행령
녹색성장위원회규정
위원회로고
찾아오시는길
개념
개념
추진배경
국가전략
국가전략
5개년계획
미래비전
녹색성장정책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자원 절약
기후변화 적응
녹색기술·산업
녹색 국토·생활
지역녹색성장
시ㆍ도 추진계획
시ㆍ도 보고자료
우수사례
녹색 도시ㆍ마을
녹색교육기관
보고대회 자료
주요소식
정부소식
산업소식
지역소식
국제소식
위원회 소식
소식
위원장 일정
위원장 동정
기타소식
Rio+20 (UN환경개발회의)
그린레터
교육자료
홍보자료
연구자료
통계자료
보고대회 자료
멀티미디어
녹색법령
용어사전
추천도서
관련사이트
녹색체험
녹색성장체험관
이동체험관
지역녹색성장체험명소
녹색실천
녹색생활이란?
녹색생활의 지혜
녹색실천UCC
녹색실천갤러리
지역행사
녹색칠판
묻고 답하기
자주묻는 질문
인사말
위원장인사말
단장인사말
위원소개
당연직위원
민간위원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및조직
위원회및기획단기능·조직
직원연락처
위원회근거법령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시행령
녹색성장위원회규정
위원회 로고
찾아오시는 길
전체
교육자료
홍보자료
멀티미디어
연구자료
통계자료
보고대회 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추천도서
용어사전검색
검색어 입력
스마트 워터 그리드 (Smart Wa ter Grid)
물의 생산과 소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면서 수자원과 상하수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물 낭비를 줄이고 수자원의 생물학적·화학적 정보를 수집해 수질 관리에도 기여한다.
신재생에너지 [New and Renewable Energy]
● 신재생에너지 정의 ☞ 우리나라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조의 규정에 의거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정의하고 11개분야로 구분 - 재생에너지 :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폐기물, 지열(8개 분야) - 신에너지 :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및 중질잔사유가스화, 수소에너지 (3개 분야) ● 신재생에너지 중요성 ☞ 신·재생에너지는 과다한 초기투자의 장애요인에도 불구하고 화석에너지의 고갈문제와 환경문제에 대한 핵심 해결방안이라는 점에서 선진 각 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과감한 연구개발과 보급정책 등을 추진 - 최근 유가의 불안정, 기후변화협약 규제 대응 등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에너지공급방식 다양화 필요 - 기존에너지원 대비 가격경쟁력 확보시 신·재생에너지산업은 IT, BT, NT산업과 더불어 미래산업, 차세대산업으로 급신장 예상 - 우리나라는 2011년 총에너지의 5%를 신·재생에너지로 보급한다는 장기적인 목표하에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 및 보급사업 등에 대한 지원 강화
그린 소프트웨어 [Green Software]
저탄소 녹색성장 이끄는 핵심엔진으로 기업이 경제활동에 필요한 기반시설들을 저전력 시스템으로 구현해주고 업무과정을 지능화, 자동화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유해물질 배출을 줄이는데 기여하는 소프트웨어, 저탄소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 서비스를 포괄하는 IT 자산과 운영의 효율화를 지원하거나 유해물질이나 환경규제를 관리하는 솔루션 등이 대표적인데, 전문가들은 이를 잘 이용하면 서버나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 하드웨어의 전력 사용량이나 발열량을 줄이는 것보다 더 직접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린 소프트웨어의 활용도는 빌딩 내 온도습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지능형빌딩시스템(IBS)이나 운송망 관리, 에코 드라이빙, 재고 감소 등을 지원하는 운송 네트워크 설계 시스템 등 적용 범위와 폭이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유해물질 사용제한, 전기전자제품 폐기물처리 등 국제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 소프트웨어는 가장 직접적인 그린 소프트웨어로 꼽힙니다.
우드 펠럿[Wood Pellet]
신재생에너지 활용방안의 하나로 유럽 및 선진국에서 상용화하고 있으며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지구상 최상의 대체 연료입니다. 소나무를 파쇄·건조·소성·냉각과정을 거쳐 고발열량의 연료로 유럽을 중심으로 가정 및 산업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여 신재생 연료원으로서 경유·벙커C유 보다 비용이 저렴하여 분진·황산화물·일산화탄소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녹색성장 [Green Growth]
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이고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이루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은 에너지고갈과 환경 파괴의 부작용이 적잖았다. 그러나 녹색성장은 석유, 석탄 대신 태양, 풍력, 조력, 수소와 같은 청정 에너지와 녹색기술을 통해 환경을 지키고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만들어 경제성장을 이루는 국가발전의 새로운 원동력이다. 즉, 녹색성장의 핵심은 경제성장을 추구하되 자원이용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이를 다시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활용하는 선순환 구조에 있다.
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세계기상기구]
UN(United Nations:국제연합)의 전문기구로, 1879년에 창립한 IMO(International Meteorological Organization:국제기상기구)가 그 전신이다. 1947년 IMO 이사회에서 새로운 기구를 창설하기 위하여 세계기상협약을 채택하였고, 그 결과 1951년부터 44개 회원국으로 WMO가 활동을 시작하였다. 관측망 확립을 위한 세계 협력, 기상사업 설비를 갖춘 기상중추의 확립·유지, 기상정보의 신속한 교환조직 확립, 기상관측 표준화와 관측 및 통계의 통일성 있는 간행 확보, 항공·항해·농업 및 인류활동에 대한 기상학 응용, 기상학 연구 및 교육의 장려와 국제적인 조정 등을 목적으로 한다. 기구에는 정책입안을 담당하며 4년마다 개최하는 총회를 비롯하여 29명으로 구성된 집행위원회, 지역기상협회, 전문위원회 및 행정조직의 중심 기능을 담당하는 사무국 등이 있다. 활동 중인 사업으로 세계기상 감시, 세계기후 프로그램, 대기조사 및 환경 프로그램, 기상학 장비 프로그램, 수문학 및 수원(水原) 프로그램, 기술협력 프로그램,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등이 있다. 2000년 현재 179개국에서 185개 회원 단체가 참가하고 있으며, 한국은 1956년 3월에 회원으로 등록하였다.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다.
MW [Mega Watt]
메가와트 (MW): 1,000,000 와트 일률이나 전력 단위에 시간 단위를 사용하면서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로 자주 쓰인다. 1킬로와트(kW)의 기기가 한 시간에 소비하는 에너지는 1 kWh가 되며 이는 3.6 MJ과 같다. 1 MWd는 86.4 기가줄(GJ)이 된다. 1 와트는 1,000mW이다.
World Resource Institute [WRI, 세계자원연구소]
1982년 독립된 비영리단체로 설립되었으며,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두고 있다. 각국의 민간기업이나 재단, 정부기관, 정부간 국제조직, 개인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다. 지구 규모의 환경, 자원과 개발에 관한 문제를 연구한다. 지구환경자원을 보호하면서 현세대와 차세대 사람들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는 사회의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각국 정부나 민간기업, 국제비정부기구(NGO)와 협력하면서 조사?연구 결과의 발표, 정책 입안 등의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경제학, 삼림, 생물다양성, 기후변동, 에너지, 지속가능한 농업, 자원과 환경에 관한 정보, 무역, 기술, 환경과 자원관리를 위한 국가전략, 인류의 건강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 개발도상국에 대해서는 연구소 내의 국제개발연구센터가 자연자원의 관리와 경제개발에 관한 책임을 지고 있는 정부, NGO, 지역단체에 대하여 정책에 관한 조언이나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영국 Stern Review
The Stern Review on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는 경제학자 Lord Stern의 700페이지짜리 보고서이며(발간 : 2006년 10월 30일) 세계 경제에 미치는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를 다루고 있다. 비록 이분야를 처음으로 다룬 보고서는 아니지만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지구환경보고서 [The State of the World]
지구환경보고서(The State of the World)는 월드워치연구소(World Watch Institute)에서 해마다 발간하는 지구환경에 대한 조사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정책적인 특이사항이나 분쟁사항 등 전세계에 걸쳐 해마다 그 해에 가장 쟁점이 된 환경 관련 문제를 다룬 조사자료로서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폭넓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트위터
"
[그린레터 157회] “녹색위 민간위원, 녹색성장 10…
http://t.co/okBzAQPj
"
"
오늘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1~…
http://t.co/uCDeu9xV
"
"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 공모
http://t.co/dGpYFgLi
"
녹색성장체험관...
2011/12/21
미래농업의 성장동력인‘식물공장’시범 추진
녹색성장위원회「그린레터」제157호 입니다
기후변화 국제표준화 선도
배출권 거래 중개 민간 자격증, 주의하세…
교과부-순천시, 환경과 녹색성장 체험활동…
[동영상] 녹색성장 성과
explorer 7 이상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explorer 6 에서는 자료다운로드 시 오류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