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장관주재 셰일가스 관련업계 간담회 개최
가스·석유공사·관련협회, 셰일가스 협력 양해각서 체결
□ 지식경제부는 셰일가스發 국제 에너지 환경변화에 대비하여 에너지 및 관련 산업 부문의 선제적 대응전략을 제시함
ㅇ 지식경제부는 9.6일 에너지 및 관련 산업계 대표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대회의실에서 셰일가스 관련업계 간담회를 개최하고, ‘셰일가스 개발?도입 및 활용전략’을 발표함
ㅇ 홍석우 장관은 간담회를 주재하면서 관련업계의 대응현황과 건의사항을 청취하고, 셰일가스 시대에 대비하여 에너지업계 뿐만 아니라 석유화학, 철강 등 관련 산업계의 적기 대응을 주문하였음
□ 이날 발표된 셰일가스 전략에는 최근 셰일가스 개발 동향, 에너지 및 관련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이에 대한 대응전략이 포함됨
ㅇ 주요 내용으로는 에너지 부문에서는 셰일가스 도입을 확대하여 천연가스 도입선을 다원화하고, 국내 공기업?민간의 자원개발 역량을 확충하는 기회로 활용하는 한편,
ㅇ 산업 부문에서는 셰일가스가 국내 주요산업별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셰일가스發 국제 경쟁환경 변화에 대한 국내 업계의 선제적 대응방안을 제시함
□ 지식경제부는 금년 5월부터 민관 합동으로 셰일가스 대책반(TF)을 운영하면서 국내 산학연 전문가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이번 셰일가스 전략을 마련하였으며,
ㅇ 이날 발표된 전략을 차질 없이 이행함으로써 셰일가스가 가져올 국제 에너지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계획이라고 밝힘
□ 한편, 이날 가스공사, 석유공사, 해외자원개발협회, 플랜트산업협회는 ‘셰일가스 개발?도입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향후 셰일가스 개발?도입시 공기업?민간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함
□ 에너지 및 산업에 대한 부문별 전략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셰일가스 개발?도입 전략】
① ‘20년까지 국내 LNG도입량의 20%를 셰일가스로 확보하여 중동?동남아에 치중된 천연가스 도입선을 다원화하고 국내 가스가격 안정화를 도모하는 한편, 자주개발물량중 셰일가스의 비중을 20%로 확대
② ‘셰일가스 민관협의회’ 운영(위원장 : 에너지자원실장)을 통해 공기업?민간간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가스개발 – 액화플랜트 건설?운영 – 수송?도입’을 연계한 ?한국형 셰일가스 개발 모델?을 구축하고,
- 또한, 국내기업과 북미 에너지기업과의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정부간 협력채널 및 교류협력 프로그램을 마련할 계획
* 금년말 제1차 한-캐나다 천연가스 포럼(Korea-Canada Natural Gas Forum) 개최 추진
③ 셰일가스 투자 확대를 위해 석유공사?가스공사의 투자재원 확충을 추진하고, 민간에 대한 수출입은행 여신 확대*, 무역보험공사의 투자위험보증 확대**를 통한 펀드 지원, 해외자원개발융자사업 개편*** 추진
* 수출입은행 자원개발분야 여신 규모 : (‘12) 2.8조원 → (‘20) 21조원(목표)
** 무역보험공사 투자위험보증 규모(‘12년 1.5조원)를 단계적으로 확대
*** 해외자원개발융자사업(‘12년 2,000억원) 대상을 확대, 셰일가스 분야 융자 추진
④ 확보된 셰일가스의 탄력적 활용*을 위해 국내 소요물량외 잉여물량에 대한 트레이딩 허용 등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하고, 가스공사?민간의 국내 LNG 저장시설 확충 추진
* 동북아는 全세계 LNG 단기거래 물량의 53%가 거래(‘11년 32백만톤)되는 최대 스팟시장으로 단기 트레이딩 기회를 적극 활용할 필요
** 금년 하반기중「동북아 LNG 허브 구축방안」용역을 통해 세부 추진방안 마련
⑤ ‘20년까지 셰일가스 개발기술을 선진국 대비 80% 수준으로 확보하기 위한 ?셰일가스 개발기술 마스터플랜?을 금년중 수립하고, 내년에 현장중심의 대형 R&D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한편,
- 자원개발사업의 핵심영역인 운영부문(operation) 진출을 위해 셰일가스 개발현장 파견교육 등을 통한 핵심 전문인력 양성 추진
【주요 산업별 대응전략】
① (석유화학) 미국의 에탄크래커 설비 확대에 대비하여 非에틸렌계 생산 확대 등 제품군을 차별화하고 나프타에서 LPG 등으로 원료 다변화 추진
② (철강) 셰일가스용 강관 수출 확대를 모색하고 첨단강재 개발을 지속하는 한편, 천연가스를 활용한 제철법 개발 등 추진
③ (자동차) 향후 CNG차량 확대 가능성에 대비하여 핵심부품에 대한 성능개선을 추진하고 전기차 등 친환경차 시장변화를 지속 모니터링
④ (조선) 대형컨테이너선 LNG 추진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 LNG 수송선 기자재의 국산화를 추진
⑤ (플랜트?기자재) LNG 펌프?가스압축기 등 LNG 액화플랜트?기자재 기술개발을 확대하고, 자원개발기업과 연계한 플랜트 수주를 추진
첨부 1. 셰일가스 관련업계 간담회 개요
2. 셰일가스 개발?도입 및 활용전략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