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년 서울형녹색기술 연구과제 3개 분야 7건 선정, 총 15억 원 지원
– 수력발전 기술, 건설폐기물 선별기술 등 서울시내 적용 가능한 기술 선정
– 대학교?민간기업 등 과제 수행할 연구기관 5월말까지 공모로 선정할 계획
– 서울녹색기술 경쟁력 강화위해 ‘14년까지 50건 녹색기술 연구개발 지원
– 市, 친환경녹색기술 적극 확보해 서울을 에너지 소비도시에서 생산도시로 만들 것
□ 서울에서도 수력 발전을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다.
□ 서울시가 버려지는 작은 낙차의 수력을 자원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비롯해 매립용 폐기물 재활용 기술, 직화구이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블랙카본 제거 기술 등을 ‘서울형 녹색기술’로 선정해 기술개발 지원에 나선다.
○ ‘서울형 녹색기술 연구개발 지원 사업’은 녹색기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세계적인 수준으로 육성하고자 시가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고 있는 사업으로, 2010년부터 추진 중이다.
□ 서울시는 엄격한 심사기준에 따라「’12년 서울형 녹색기술 육성을 위한 기술지원 과제」3개 분야 7건(신재생에너지 3건, LED조명 2건, 생활환경 2건)을 선정했으며, 1개 과제당 최대 3억 원, 총 15억 원을 지원한다고 9일(월) 밝혔다.
○ 시는 우수한 연구과제 선정을 위해 지난 1월부터 2개월간 대학교, 전문연구기관,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과제 수요조사를 실시, 총 20개 과제를 접수했다.
○ 과제 선정에 있어서도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대학교수?연구원 등 민간전문가가 모여 선정심사위원회를 열고 시책적용성과 시급성, 경제적 기대 효과 등을 종합평가해 선정했다.
□ 이번에 선정된 과제들은 1년간 연구 개발비용을 지원받고, 반기별로 중간 점검 평가를 받게 된다.
□ 서울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원전 1기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녹색기술을 적극 확보해 서울을 에너지 소비도시에서 에너지 생산도시로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 1년간 지원을 받게 되는 기술개발 과제 7건은 ?저낙차 수차발전설비 개발 ?직화구이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블랙카본 제거 기술개발 ?매립용 폐기물 재활용 기술개발 ?메탄가스 생산 극대화위한 혐기소화 모델 및 공정개발 ?LED시스템조명 성능검증 기술개발 ?후사광 제거하는 경량 LED 가로등 개발 ?한국형 천연잔디 학교운동장 조성 및 유지 기술개발 등이다.
<저낙차형 수력발전 기술, 건설폐기물 선별 기술 등 서울시내 적용 가능한 기술 선정>
□ 이번 선정 과제 중 가장 특색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기술은 ‘하수?정수처리장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낮은 폭을 이용한 수력발전 기술’이다.
□ 이 기술은 기존에 하수?정수처리장 등에 버려지고 있는 소수력 자원을 활용한 저낙차형 수류발전설비에 대한 국내자체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향후 표준화 및 상용화하게 되면, 하천 등 유사한 입지조건을 가지고 있는 장소로 보급을 확대해 소규모 친환경 청정에너지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또한, ‘매립용 혼합건설 폐기물을 선별하고 분리하는 효율적인 재활용 시스템 개발’은 자동으로 폐기물의 종류를 분리함으로써 수도권 매립지에 반입되는 서울시 혼합건설폐기물 반입량을 최대 10%까지 감축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고효율 조명(LED) 성능 검증 기술 개발’은 LED 조명에 대한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하고, 시스템 조명의 객관적인 성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해 LED 시스템 조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과제 수행할 대학교?민간기업 등 연구기관 5월말까지 공모로 선정할 계획>
□ 서울시는 이번에 선정된 7건의 연구과제를 수행할 대학교, 민간기업, 전문연구기관 등 최적의 연구기관을 5월 말까지 공개경쟁을 통해 선정할 계획이다.
□ 연구 개발이 끝난 뒤 ’14년부터는 소수력발전 기술 개발에 대한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시는 기대했다.
□ 임옥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2014년까지 약 50개의 녹색기술 연구 과제를 선정?지원해 서울의 녹색 벤처 기술을 육성?발전시켜나갈 것”이라며, “이를 통해 미래형 녹색 경쟁력을 강화해 안전하고 깨끗한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붙임 : 1. 2012년 GT R&D 지원과제 1차 선정결과(7개 과제) 1부.
2. 서울형 녹색기술 육성을 위한 GT R&D 지원계획 개요 1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