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산업혁명을 통한 성장 패러다임의 진화

녹색 R&D 투자 확대

대한민국은 미래 신성장 동력 창출과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녹색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약 13조원을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원 등의 녹색기술에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녹색기술의 조기 성장동력화 및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기여할 수 있도록 10대 핵심 녹색기술에 대해 정부 종합 대책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10대 핵심 녹색기술: 이차전지, LED, 그린 IT, 고효율 태양전지, 그린카, 지능형 전력망(스마트그리드), 미래 원자력, 연료전지, CCS, 고도 수처리

녹색기업 투자 변화

국내 기업들은 세계 녹색시장의 선점을 위해 녹색사업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있다. 지난 3년간(2008~2010년) 국내 30대 그룹의 녹색투자 총액은 15.1조원 규모이며 연평균 74.5%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2008년 2.4조원 → 2009년 5.4조원 → 2010년 7.3조원). 향후 3년간(2011년~2013년) 30대 그룹의 총 투자 예정 금액은 약 22.4조원으로 지난 3년 대비 48.2%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미래 기회를 선점하고 녹색강국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2008년부터 3년간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산업(제조업 기준)은 기업체수 2.2배, 고용인원 3.6배, 매출액 6.5배, 수출액 5.9배, 민간투자 5배 등으로 획기적인 성장을 거듭해왔다. 우리나라는 2015년까지 세계 5대 신재생에너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민관 합동으로 총 40조원을 투자, 태양광과 풍력을 우리나라 대표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